뷰페이지

[서울신문 이색 애독자 2人] 2代 70년 독자 이기형 치과원장

[서울신문 이색 애독자 2人] 2代 70년 독자 이기형 치과원장

입력 2010-07-16 00:00
업데이트 2010-07-16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피니언면 씨줄날줄·길섶에서 왕팬”

“우리 집안이 서울신문 역사의 산 증인이라 할 수 있지. 어릴 적 읽었던 매일신보부터 지금의 서울신문까지…. 서울신문 106년 역사 가운데 3분의 2가 넘는 시간을 우리 가족이 함께 했다니 영광인걸.(웃음)”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2대 애독자인 이기형 제일치과 원장이 14일 자신이 운영하는 서울 남가좌2동 치과병원에서 “이슈를 객관적인 시선으로 조망해 주는 서울신문이 최고”라며 신문을 든 채 미소짓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서울신문 2대 애독자인 이기형 제일치과 원장이 14일 자신이 운영하는 서울 남가좌2동 치과병원에서 “이슈를 객관적인 시선으로 조망해 주는 서울신문이 최고”라며 신문을 든 채 미소짓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서울 남가좌2동에서 34년째 치과를 운영하고 있는 이기형(77) 원장은 평생에 걸친 서울신문의 애독자다. 부친이 구독한 기간까지 합치면 이 원장 가족이 서울신문과 인연을 이어온 기간이 70년을 훌쩍 넘는다. 이 원장은 “내가 글을 깨우치기 시작한 국민학교 1학년 당시인 1940년쯤 매일신보(서울신문 전신)를 읽은 기억이 생생하다.”면서 “아버지는 그 훨씬 전부터 구독하셨다.”고 회상했다.

이 원장은 서울 공덕동 한옥집에서 보낸 유년 시절, 매일 아침 서울신문을 보던 아버지의 모습을 또렷이 기억했다. “아침에 일어나 마당에 배달돼 있는 신문을 주워다가 건넌방 아버지 서재 책상 위에 올려두는 게 내 일이었지. 글자 읽기에 재미를 붙인 당시 국민학교 1학년생 이 원장은 신문을 통해 글을 배우고, 세상을 읽었다. 이 원장은 “어린 시절부터 읽었던 서울신문이 지금까지 상식이나 어휘력 향상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 가족과 서울신문의 인연은 남다르다. 공덕동에서 군수용 산소 제조회사를 운영하던 부친은 해방 후 제호를 바꾼 서울신문 지면에 소개된 적도 있다. “48년쯤인가. 당시 서울시청 앞에서 수소로 가는 자동차를 시범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거기에 우리 아버지 회사가 관여했었지. 10분도 못가서 차가 멈춰서는 바람에 실험은 실패였지만, 아버지가 나온 기사라 자랑스러웠어.”

이 원장은 군의관으로 14년간 군생활을 마친 뒤 71년 중령으로 예편해 서울신문사가 위치한 바로 뒤편 중구 다동에 치과를 개원했다. 그때부터 치과에서 서울신문을 직접 구독하기 시작했다. “지금의 체육회관 바로 옆 건물이 내 첫 치과병원 자리였어. 거리가 가까워서 서울신문 직원들도 많이 왔는데, 내가 보는 신문 만드는 사람들이라고 진료비도 깎아주곤 했지.”

이 원장은 70년대 중반까지 서울신문을 모아두었다. 보고 싶은 기사를 언제든 다시 찾아보기 위해서였다. 치과 안쪽 사무실 벽면이 신문 박스로 가득찰 정도였다. “지금은 인터넷에서 지난 기사를 찾아보지만 당시엔 신문을 보관하지 않으면 방법이 없었어. 70년대 중반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신년사 같은 게 1면에 실린 걸 봤었고, 84년도였던가? 서울신문이 보신각종을 새로 만드는 모금운동을 했던 것도 기억에 남네.” 그는 76년 치과 사무실을 이사하면서 짐이 많아 그 많던 신문을 다 버린게 아쉽다고 했다. 남가좌동으로 치과를 옮긴 후에도 구독은 이어졌다. 그 후로 40년 가까이 오전 9시 치과에 출근하면 가장 먼저 서울신문을 훑어보는 것이 생활화됐다. 이 원장은 가장 먼저 1면에 실린 기사의 제목을 살펴보고, 맨 뒤로 넘겨 오피니언면을 읽는다.

사설 제목을 먼저 보면 오늘의 중요한 이슈가 무엇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원장은 오피니언면 ‘씨줄날줄’과 ‘길섶에서’ 코너의 ‘왕팬’으로 자처했다. “짧은 수필을 읽는 기분이라 참 재밌어. 소소한 삶 속에서 느낀 바를 담아내는 재주가 어찌나 좋은지 늘 감탄하지.” 이 원장은 서울신문 논설위원들의 이름을 줄줄 읊으며 오늘은 누가 어떤 글을 썼는지 찾아보는 것도 큰 재미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오고가는 사람들도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서울신문을 환자 대기실 탁자 위에 올려두곤 한다.

서울신문의 변천사를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지켜본 이 원장은 행정과 지역뉴스를 서울신문만의 강점으로 꼽았다. 그는 “전국으로 가는 중앙지이면서도 자치구 소식 등을 세세하게 담아 지역신문을 같이 보는 것 같은 일석이조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과거에 비해 정부 비판적인 기사가 늘어난 점도 장점으로 언급했다. “비판할 것은 비판하고, 칭찬할 것은 칭찬하는 것이 신문 본연의 역할이지. 내가 보는 서울신문은 그 역할을 다 해내고 있다고 생각해. 대신 중도를 표방하면서 이도저도 아닌 무색무취는 곤란하지. 제 색깔을 더 뚜렷이 내는 신문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은 있어.”

이 원장은 지금도 전화번호부보다 더 두꺼운 국어사전을 책상 가장 가까운 곳에 놔두고 있다. 신문을 읽다 이해가 안가거나 순우리말이 아닌 단어가 나오면 바로바로 사전을 뒤진다. ‘무대뽀’와 같은 일본어 잔재가 버젓이 신문 제목에 올라 항의 전화를 한 적도 있다. 이 원장은 그만큼 우리말과 글에 관심이 많다. 평생 신문을 손에서 놓지 않은 덕에 생긴 습관이라고 했다.

“서울신문에서 앞장서 순 우리말을 소개하고 잘못된 용어 사용을 바로잡아주는 코너를 만들면 어떨까? 신문은 정보만 주는게 아니라 사회를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역할도 하니까. 그러면 난 앞으로도 서울신문의 열혈 독자로 남을거야.” 이 원장은 인터뷰 내내 손에 들고 있던 서울신문을 다시 펼쳐 읽기 시작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0-07-16 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