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대, 정치를 묻다] “장점요? 기성세대 의원들에게 참신함·경각심 주죠”

[20대, 정치를 묻다] “장점요? 기성세대 의원들에게 참신함·경각심 주죠”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대 정치인 ‘희망’을 말하다

20대 정치인의 가장 큰 장점은 ‘참신함’이다. 평균연령이 50~60대인 기초의회에 뛰어든 20대의 풋풋한 시각은 기성세대들에게 경각심을 준다. 젊은 세대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동시에 관행이 만연한 기초의회에 신선한 자극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내가 당선된 것 자체가 가장 큰 성과였다.”고 말하는 김수민(29·무소속) 경북 구미시의원은 “시의회를 한나라당 독점 구조에서 탈피시켰고, 집행부와 의회는 물론 의회 내부에도 바람직한 긴장관계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김 의원은 “예산 심사 때 삭감되는 비중이 늘어났고 행정사무 감사에서도 지적 건수가 40% 정도 증가했다.”면서 “특히 대규모 공단이 있어 20~40대가 많은 지역 특성을 감안해 보육정책에 신경 쓰도록 한 게 가장 뿌듯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공약이던 만 12세 이하 무상 예방접종 지원을 이뤄 냈다.

김병민(29·한나라당) 서울 서초구의원은 청소년 참여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의 조례를 발의했고 이번 회기에 통과시켰다. “구청에서 집행하는 청소년 관련 정책을 50~60대 어르신들이 짜다 보니 청소년들의 눈높이와 전혀 맞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다. 앞으로 서초구에서 청소년 관련 예산과 정책을 짤 때에는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김 의원은 “세대 간 격차를 줄여 가면서 다양한 계층이 어우러지는 지역사회를 만드는 노력을 한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최유진(27·여·민주노동당) 광주 북구의원도 “같은 예산을 쓰더라도 청소년이나 대학생들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사업을 변경할 수 있다.”면서 “20대 의원이라는 것 때문에 지역에서 반값 등록금 등 이슈가 있을 때 현장이나 대학에 초청해 나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많이 갖고 있다.”고 자부했다. 그는 특히 “50~60대 의원들이 정치 초년생 앞에서 좀 더 깨끗한 모습을 보여 주려고 노력하시는 것 같다.”면서 “그동안에는 문제인지 몰랐던 부분을 내가 짚어 내고 질문을 하니까 경각심을 느끼고 나의 시각을 많이 이해하려고 해 주신다.”고 말했다. 김지혜(27·여·한나라당) 경기 오산시의원은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다른 의원들에 비해 시민들에게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것도 큰 강점”이라면서 “내가 이야기를 하면 더 관심 있게 지켜보는 부분도 있어 더 많은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구정활동에 도움이 되는 의견들을 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젊은 정치인의 새로운 생각은 1년 만에 지역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줬다. 조화영(29·여·민주당) 경기 광명시의원은 “경험이 부족하고 정치의 흐름을 읽는 게 미숙하다는 게 가장 큰 보완점이지만 그런 만큼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배우고 의정활동을 하려고 했다.”면서 “나의 열정을 알아주고 아무 조건 없이 지지해 주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어 희망을 느낀다.”고 밝혔다. 그는 젊은 여성이라는 특성을 살려 광명시 평생학습사업소 여성회관에 마련된 탁아소를 무료로 이용하도록 하는 조례를 발의했다. 이 조례가 통과되면서 시 직영으로 운영되는 여성회관에 아이를 데리고 온 주부들이 소액의 이용료를 지불해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됐다.

이은창(28·자유선진당) 대전 유성구의원은 대전 유성구에 테크노밸리가 개발되면서 관평동의 이름이 ‘관평테크노동’이라고 만들어지는 것에 반대해 동 이름을 다시 돌려놨다. 이 의원은 “주민 갈등을 주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정치인으로 첫발을 디딘 이들은 이제 젊은 세대들의 목소리가 더 높아지는 정치를 희망한다. 이관수(28·민주당) 강남구의원은 “반값 등록금, 청년실업 문제들이 이제 중앙정치에서도 핵심 이슈가 되고 있고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권에서 20대 젊은층들이 비례대표로 진출하고 있다.”면서 “보다 많은 전문가들의 참여를 토대로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례를 만들고 지역구에서 열심히 일한다면 젊은층들이 중앙 정치에서도 단단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세훈·강주리·허백윤기자

baikyooon@seoul.co.kr

2011-07-18 44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