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획] [아날로그&디지털 리포트] (2) 디지털 단식 1주차

[기획] [아날로그&디지털 리포트] (2) 디지털 단식 1주차

유대근 기자
입력 2015-04-07 17:50
업데이트 2015-04-08 0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잊혀진다

[장] 문자 답장 안 해도 그러려니… 소외감 속 느끼는 자유

[단] 카톡 찌라시 금단 증상… 지인들 대화에 못 끼는 슬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식 나흘째, 허기진 나에게 ‘엄청난’ 도전이 찾아왔다. 34번째 생일. 생일은 내가 공들여 구축한 사회 관계망 안에서 따뜻한 축하를 받으며 살아 있음을 확인하는 날이다. 하필 디지털 관계망의 중추신경 격인 SNS가 끊어진 날 생일을 맞다니, 원.

이미지 확대
오전 9시, 사무실 책상에 앉아 애먼 손톱만 물어뜯었다. 내 친절한 지인들은 카카오톡(카톡)으로 축하 메시지를 보냈음이 분명하다. 한데, 확인할 길이 없다. ‘축하 전화나 문자 한통 못 받는다면 어쩌지.’ 초조함이 엄습했다. 30여분 뒤 고대하던 스마트폰 진동이 울렸다. 대학 친구가 보낸 축하 문자메시지였다. 이후 축하 문자 20여통이 시나브로 쌓였다. 서른을 훌쩍 넘긴 나이에 그깟 생일 축하 문자에 이토록 반색하다니. 그러고 보니 축하글은 단순한 문자 이상의 의미였다. ‘너를 잊지 않았다’는 메시지랄까. 잊혀짐, 그것은 공포였다.

SNS 단식 1주차, 가장 목마른 건 불급(不急)한 정보들이었다. 예컨대 여배우의 TV 예능 프로그램 하차 내막이랄지, 정재계 인물의 뒷얘기 따위다. ‘카톡 찌라시’가 끊기니 친절히 전해 주는 사람이 없었다. 이런 정보들은 불급하긴 하나 불요(不要)하지는 않다.

가십을 모르니 저녁 모임 등에서 지인들의 대화에 도통 끼어들 틈이 없었다. 시류에 뒤처진다는 느낌이었다. 누군가는 “카톡에서 떠도는 찌라시 정보는 대부분 쓰레기”라고 했지만 그 ‘쓰레기’는 사사로운 대화 주제로 태워버리기 매우 좋았다.

정보에 대한 목마름 탓인지 SNS 단식 3일째부터 조금씩 시작된 금단 현상은 점점 심해졌다. 5일째부터는 나도 모르게 카톡 이모티콘을 누르려다가 정신을 차리고 스마트폰 화면에서 손가락을 급히 떼는 일도 생겼다.

반면 SNS를 끊으니 편한 점도 많았다. 일주일간 내게 온 메시지는 모두 58건. 1~2시간만 들여다보지 않아도 수십개의 메시지가 쌓이는 카톡과는 확연히 달랐다. 메시지가 줄어든 만큼 소외감은 더해졌지만 그만큼 자유로워졌다. 중요한 용건이 있는 이들은 전화와 문자로 연락을 해왔다. 특히 카톡의 대체재로 활용하기 시작한 문자(SMS)는 큰 장점이 있었다. 내가 메시지를 읽었는지 여부를, 카톡과 달리 상대방이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덕분에 문자를 확인한 뒤 한동안 답을 못해도 “메시지 읽어 놓고 왜 답이 없느냐”는 추궁을 듣지 않아도 됐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 고요하다

장] 모바일 쇼핑 충동 줄어드니 쌓여가는 통장 잔고

[단] 친구 생일 놓치고… 대중교통 검색 못해 약속 늦고

‘휴대전화가 고장이라도 난 게 아닐까.’

스마트폰과 SNS 끊기 체험 둘째날. 나는 좀처럼 울리지 않는 피처폰을 들여다보며 작동 상태를 확인했다. 지인들에게 SNS 중단을 공표할 때 어느 정도 예상하기는 했었지만, 그래도 전화기가 너무 조용하니 이상했다. 급기야 집 전화로 내 휴대전화에 전화를 걸어 잘 연결되고 있는 것인지 확인했다. 벨 소리가 약올리듯 경쾌하게 울렸다.

돌이켜 보니 내 스마트폰이 늘 바쁘게 울리던 이유는 SNS 말고도 많았다. 뉴스 애플리케이션이 수시로 알려주는 긴급 속보, 신용카드 결제 내역, 쇼핑몰의 각종 이벤트 알림 등도 스마트폰이 종일 분주했던 이유다. 이 모든 게 사라지니 휴대전화는 울리지 않았고 덩달아 나의 일상도 고요해졌다. 나를 바쁘게 했던 벨소리가 결국 ‘거품’이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얼굴 없는 이들이 끊임없이 보내온 알림 메시지를 ‘누군가가 나에게 연락하고 있다’고 착각했던 건 아닌지….

친구들을 챙기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이메일을 확인하다가 한 포털사이트에서 보내온 생일 알림 메시지를 뒤늦게 열어봤다. 친구의 생일이 3일이나 지난 후였다. 수시로 들어가는 페이스북이었다면 놓쳤을 리 없었다. 카톡으로 선물 보내기도 할 수 없어 축하한다는 피처폰 문자메시지만 간단히 보냈다.

시간이 흐르면서 스마트폰 없는 일상에 조금씩 적응이 되는 듯했다. 하루 평균 170.6회 휴대전화를 켰던 횟수가 4분의1 정도로 현격히 줄었다. 3일 동안 배터리 충전을 안 했는데도 여전히 배터리가 한칸 남아있었다. 5일째 되는 날에는 출근을 하던 중 휴대전화를 집에 놓고 왔다는 사실을 깨닫고 되돌아갔다. 수시로 알림을 확인하며 몸의 일부처럼 지니고 있던 스마트폰이었다면 일어나기 힘든 일이었다.

6일째 되던 날, 결국 참았던 짜증이 폭발했다. 평소 잘 가지 않던 신사역 부근에서 약속이 있었다. 집에서 참을성 있게 노트북을 켜고 빠른 길 찾기를 검색하고 나왔는데 실수로 버스를 잘못 탔다. 예전 같으면 스마트폰으로 대중교통편을 재탐색할 수 있었다. 하는 수 없이 왔던 길을 되돌아갔고 약속시간에 늦고 말았다.

좋은 점도 있었다. 충동구매가 줄었다. 스마트폰으로 하는 모바일 쇼핑은 언제 어디서든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손쉽게 결제가 가능해 자주 이용했었다. 지금은 컴퓨터를 부팅하는 게 번거로워 쇼핑을 하고픈 마음이 잘 들지 않는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 짜증난다

[장] 내 아이와의 시간·다시 펼치게 되는 책… ‘여유’

[단] 1주 생활 패턴 변했다고 입주변에 올라온 뾰루지

“요즘 생활 패턴이 변했거나 스트레스가 많았나 보네요?”

며칠 전부터 입 주변에 뾰루지들이 올라왔다. 그러려니 했는데 증세가 갈수록 심해졌다. 피부과를 찾으니 ‘구주위염’이라며 연고를 처방해줬다. 몸은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 디지털에 맞춰진 신경계에 아날로그적 삶을 강요하니 ‘반란’을 일으킨 셈이다. “금연 못잖게 디지털 금단증상이 심할 것”이라던 인터넷 중독 상담사의 말은 사실이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없는 생활을 체험한 지 1주일째. 아침마다 알 수 없는 짜증이 밀려왔다. 주위의 시선이 책상에서 노트북 없이 원고지에 기사를 쓰는 나에게만 쏠린 듯했다. “(노트북이 없으니) 일을 살살해라”하는 동료들의 위로(?)가 되레 귀에 거슬렸다.

컴퓨터가 없어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데다 마음도 어수선하니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이메일을 확인하지 못하는 것은 또 다른 스트레스의 진앙지였다. 예전에 나는 노트북을 휴가지에까지 동반했었다. 이메일을 통해 사적인 편지는 물론 보도자료와 뉴스레터, 찌라시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지금은 취재원을 만나는 것도 부담스러워졌다. 정보가 부족하니 얘깃거리가 금세 떨어졌다. ‘떡밥’이 부족하니 상대로부터 ‘월척’은커녕 ‘준척’을 기대하기도 쉽지 않았다. 정보 면에서는 ‘로빈슨 크루소’가 딱 내 신세였다. 궁리 끝에 ‘뉴스 노트’를 만들었다. 매일 신문기사 중 주요뉴스를 메모하기 위한 것이다. 시간과 품이 들었지만 대안이 없었다. 나에게 음악 감상은 통화 못지않은 스마트폰의 주요 기능이었다. 어쩔 수 없이 방구석에서 먼지만 쌓여 가던 CD를 다시 빼들었다. 친구에게서 휴대용 CDP도 빌렸다. 다만 스마트폰으로 MP3 파일을 들을 때 잡히지 않던 고음과 중음의 풍부한 음색을 찾을 수 있게 된 것은 ‘디지털 단식’의 보상이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내려놓자 대신 아이와 보내는 시간이 는 것도 좋은 점이었다. 평일인데도 퇴근 후 집 근처 체육공원에서 축구와 캐치볼을 했다. 함께 짧은 만화영화도 봤다. 예전 같으면 주말에나 엄두를 내던 일들이었다.

독서량도 많아졌다. 지난 1주일 동안 두 권 넘게 읽었다. 예전엔 한 달 안에 끝내기도 벅찬 양이었다. 출퇴근길과 밤 시간대에 ‘(스마트폰을 보느라 머리를 숙이고 있는)수그리족’에서 벗어난 결과다. 주간지도 구매했다. 가방 안이 피처폰을 쓰던 5년 전으로 돌아갔다. 내 정신도 5년 전만큼 젊어졌으면….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5-04-08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