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8> 용의 입에서 탄생한 영기문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8> 용의 입에서 탄생한 영기문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입력 2015-05-15 00:26
업데이트 2015-05-19 09: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龍, 도깨비 오명을 벗다

지금까지 17회에 걸쳐 용의 조형이 얼마나 다양하게 표현되는지 알았다. 그 결과 용이 어떻게 생겼는지 섣불리 말하기 어렵게 됐다. 그런데 정면용(正面龍)은 왜 그토록 몰라보았을까. 측면의 긴 모양만이 용이며, 그 모습은 그리 변화가 없지만, 정면에서 본 모습들은 끝없이 다른 모습으로 표현한 까닭에 사람들이 모든 용의 모습을 용으로 알아보지 못하고 귀면(鬼面), 도깨비, 도철(饕餮), 짐승얼굴(獸面), 심지어 치우(蚩尤·한족의 황제와 동이족의 치우천왕이 싸워 치우가 패함) 등 보는 사람마다 다르고 잘못된 이름으로 불러 왔다. 용을 정면에서 보아 표현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기 때문이다. 용은 천변만화(千變萬化)한다. 변화무쌍이란 말은 용을 두고 한 말이다.

이미지 확대
통일신라시대 추녀마루 용면와. 높이 30㎝, 너비 26㎝. 두께 5.4㎝.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통일신라시대 추녀마루 용면와. 높이 30㎝, 너비 26㎝. 두께 5.4㎝.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석가모니 부처님이 모든 중생의 다른 근기(根機)에 따라 각각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으로 나타나듯 용도 무한히 다른 몸으로 나타난다. 절대적이며 고귀한 존재일수록 무한히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세상의 만물은 우주에 충만한 초자연적 에너지, 곧 영기의 화신이 아닌가. 종교·신화·전설 등에서 초월적인 존재가 인간이나 동물 등의 몸으로 탄생하거나 출현하는 것은 ‘현실적인 몸으로 변화(化身)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화신에 상대하여 화생(化生)은 그 반대로 인간 석가가 ‘초인간적인 존재인 절대적 깨달음을 성취해 여래가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면 정면용 입의 좌우 대칭으로부터 ‘무엇’이 생겨나지 않는가. 측면용으로는 그런 표현이 불가하여 나오는 것이 없으니 정면용에서 생기는 것이 보일 리가 없다. 그런데 2000년 여름 귀신 얼굴이 용의 얼굴로 보이기 시작했을 때는 ‘용의 입에서 무엇이 나온다는 것’을 생각도 못 했고 보이지도 않았다. 용의 입에서 무엇이 나온다고 본 것은 몇 년 뒤였고, 그 입에서 나오는 다양한 조형들이 바로 ‘영기문의 탄생’이라고 인식한 역사적 사건은 또 몇 년을 기다려야 했다. 그런데 아무도 보지 못했고 무엇인지 알 수 없으니 이름이 있을 수 없다.

마치 신(神)이 된 듯한 기분으로 수천 년 이름이 없던,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이 훨씬 많은 막대한 양의 조형들을 명명(命名)하기 시작했다. 대우주에 충만해 있는 기운을 ‘영묘한 기운’, 혹은 ‘신령스러운 기운’의 준말인 ‘영기’(靈氣)라 이름 지었지만, 실은 그보다는 영(靈)이라는 심오한 글자와 기(氣)가 서로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했다. 만물생성의 근원인 보이지 않는 영기를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만든 일체의 무늬를 ‘영기문’(靈氣文)이라고 이름 지었으며, 그 영기에서 만물이 탄생하는 초현실적, 혹은 형이상학적인 탄생을 ‘영기화생’(靈氣化生)이라고 했다. 갖가지 영기문이 전개해 가는 원리를 파악하고 만물생성의 근원이라는 진실을 파악하는 데 수천 점의 영기문을 채색 분석해야 했다.

우선 통일신라시대의 용면와(龍面瓦)에서 영기문의 실마리를 찾으려 한다. 단지 용면와로 명칭이 바뀌었다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연못의 파동처럼 귀면이 용면으로 바뀌는 순간부터 세계 미술사학의 전체에 파동이 일기 시작한다. 월지(月池·안압지, 동궁 터의 못)에서 출토된 녹유용면와(釉龍面瓦)들은 그 당시의 최고 걸작이다. 우선 녹색 유약을 입혔다는 것은 불상이나 중요한 것에나 가능한데, 바로 그 사실 하나로 용의 존재가 신(神)적임을 웅변한다. 귀신은 어림도 없다.

채색 분석을 해 보면 각 부분이 모두 제1영기싹, 제2영기싹, 제3영기싹, 그것들의 변형, 보주의 여러 형태들로 표현돼 있음을 알 것이다 . 그런데 입에서 양쪽으로 무엇인가 나오고 있다. 이것은 무엇일까. 이미 필자가 찾아 놓은 제1영기싹에서 또 하나의 제1영기싹이 전개해 나간 제2영기싹이다. 그 빨간색 영기문 끝에서 작은 영기싹(녹색으로 칠한 것)들이 몇 개씩 싹트고 있다. 말하자면 용의 입 양쪽으로 제2영기싹 영기문이 끊임없이 전개하고 발산하는 것을 상징한다. 정면상의 영기문들을 분해하면 우주에 충만한 영기를 나타내며 이들이 모여 용의 얼굴이 되는 것이다. 양측면에는 양감 있는 복잡한 영기문을 돋을새김하고 있다 . 채색 분석하면 복잡 화려한 영기문이 된다 ⑤,⑥.

이 영기문을 간략화해 보면 결국 제2영기싹의 단계를 거쳐 제3영기싹 영기문으로 돼 만물생성의 근원을 이룬다. 제2영기싹 영기문에서는 갈래에서 생기는 빨간색의 만물이 생략돼 있을 뿐이다. 즉 용의 입에서 양쪽으로 발산하는 영기문은 정면상에서는 공간이 비좁아 짧고 간단히 표현할 수밖에 없어서 양측면에 다시 제2영기싹 영기문을 복잡 화려한 제3영기싹 영기문으로 표현해 두는데, 양측면의 영기문이 용의 입에서 발산해 생긴 것임을 알 수 있다. 단순한 장식인 당초문이 아니다. 용의 기운이 가장 충천하면 분노하는 듯한 모습을 띠며, 입을 가능한 한 크게 벌리는 것은 만물이 그의 입에서 생겨 나오기 때문이라는 것도 훨씬 후에 알게 됐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2015-05-15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