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욱동 창문을 열며] 현란한 수사 뒤에 숨긴 진리

[김욱동 창문을 열며] 현란한 수사 뒤에 숨긴 진리

입력 2015-08-16 23:14
업데이트 2015-08-16 2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욱동 문학평론가·UNIST 초빙교수
김욱동 문학평론가·UNIST 초빙교수
자칫 잊기 쉽지만 언어는 진실을 드러내는 것 못지않게 진실을 감추기도 한다. 특히 진실은 화려하고 현란한 수사에 몸을 숨기기 일쑤다. 그래서 플라톤은 일찍이 비유를 속 빈 강정처럼 겉모습만 번지르르하고 실속이 없다고 비판했다.

동양의 플라톤이라고 할 공자도 ‘논어’에서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鮮矣仁)이라고 하여 그럴듯한 말로 발라 맞추는 말이나 알랑거리는 낯빛을 하는 것은 어진 사람이 취해야 할 도리가 아니라고 가르쳤다. 말을 그럴듯하게 하고 낯빛을 아름답게 꾸민다는 것은 지나치게 외모를 치장하는 것처럼 어디까지나 본래의 모습을 감추려는 것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70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 14일에 발표한 담화 내용을 읽노라면 새삼 플라톤과 공자의 말이 떠오른다.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지배를 받으며 고통을 당한 한국과 중국 정부에서는 그동안 식민 지배에 대한 진정한 사죄와 반성을 입에 침이 마르도록 촉구해 왔다.

아베 총리는 식민 지배를 받은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 일본 안팎의 비판 여론을 고려해서인지 무라야마 담화의 핵심 어구를 모두 사용했다.

가령 ‘식민지배’, ‘침략’, ‘사죄’, ‘통절한 반성’ 같은 말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자신이 직접 사과를 한 것이 아니라 마치 복화술자처럼 무라야마 총리가 한 말을 빌려 간접적으로 사과하는 것에 그치고 말았다.

그러면서 역대 총리들이 사죄를 했으니 일본 인구의 8할이 넘는 젊은 세대들은 선조들이 저지른 일에 대해 이제 더 사과를 할 필요가 없다는 말을 덧붙였다.

아베 총리의 담화에서는 그동안 한국과 중국이 요구해 온 식민 지배에 대한 진정한 사죄와 반성은 아무리 눈을 씻고 봐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일본이 자행한 만행을 온갖 현란한 수사로 교묘하게 가리고 있다는 인상을 떨칠 수 없다.

가령 ‘침략’에 대해서는 “힘에 의한 곤궁의 타개를 시도했다”는 말로 슬쩍 넘어가 버렸다. 아무리 언어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도 ‘힘에 의한 곤궁의 타개’라는 표현을 침략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할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더구나 아베 총리는 과거 식민 지배와 침략의 주체를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그 책임을 교묘하게 비켜 갔다.

‘침략’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위안부’와 관련한 구절이다. 아베 총리는 ‘위안부’라는 낱말을 피하기 위해 무척이나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그는 “전장의 그늘에서 명예와 존엄을 깊이 상처받은 여성들이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전쟁 속에서 명예와 존엄성에 큰 상처를 입은 여성이 어찌 비단 위안부에 그치겠는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재산을 잃은 여성도, 부모를 잃은 여자 아이들도, 심지어 전쟁터로 자식이나 남편을 떠나보낸 어머니나 아내도 하나같이 전쟁의 희생자들이다. 한마디로 제2차 세계대전을 겪은 여성치고 상처를 받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다시피 할 것이다.

일본의 제1야당인 민주당의 오카다 가쓰야 대표도 아베 총리의 담화 속에 무라야마 담화의 주요 표현이 인용이라는 형태로 담겨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 자신의 표현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AP 통신도 “아베가 과거의 사과를 언급했지만, 스스로 공식적 사과는 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우리는 숨을 죽이며 아베 총리의 담화에 실릴 내용을 기다려 왔다. 오죽하면 며칠 전 일본 대사관 앞에서 80대 노인이 일본을 비판하면서 분신자살을 시도했을까. 아베의 담화는 결국 일본 식민 지배의 피해국들에 아픈 상처만 되새기게 해줬을 뿐 이렇다 할 치유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무라야마 담화의 역사 인식에서 오히려 후퇴한 것 같다. 그러고 보니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각각의 인생이 있고, 꿈이 있고, 사랑하는 가족이 있었다. 이 당연한 사실을 음미할 때 지금 말을 잃고, 그저 ‘단장(斷腸)의 염’을 금할 수 없다”는 아베 총리의 말이 왠지 공허하게 들릴 뿐이다.
2015-08-17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