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칼럼] 중국도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데

[서동철 칼럼] 중국도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데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1-04 18:24
업데이트 2015-11-04 1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지난주 경주에서는 안압지 발굴 40주년을 맞아 발굴 주역이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 지금은 ‘동궁(東宮)과 월지(月池)’라고 불리는 안압지는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됐지만 본격적인 조사는 하지 못하고 있었다. 1974년 연못에 쌓인 흙을 걷어 내는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 유물이 쏟아져 나오자 이듬해부터 2년 2개월 동안 발굴이 이루어졌다.

이날 모임은 문화재연구소장으로 안압지 발굴을 총지휘했던 김정기 박사가 좌장을 맡기로 계획됐었다. 하지만 김 박사가 지난 8월 별세하는 바람에 좌담회는 추모 모임을 겸하는 자리가 됐다. 안압지 조사 당시는 문화재연구소에도 체계적인 발굴에 익숙한 사람은 김 박사가 거의 유일했다고 한다. 그러니 안압지 발굴 이후 40년은 우리나라 발굴이 발전한 역사를 응축한 시간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세상의 눈길은 자연스럽게 김동현 당시 안압지조사단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의 발굴 당시 회고에 모였다. 발굴 현장 근로자들이 수습한 유물을 골동품상에 빼돌리는 일도 없지 않았던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이었으니 한국판 ‘인디아나 존스’급 에피소드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40주년을 돌아보는 참석자들은 이제부터가 더 걱정스러운 듯했다. 발굴 조사로 동궁과 월지의 실체를 규명하고 통일신라시대 생활상을 상당 부분 복원한 이들이다.

사회를 맡은 최병현 숭실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윤근일 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고경희 전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 고수길 기호문화재연구원 이사장 등 조사단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당시로서는 최선을 다해 발굴했다”고 자부하는 모습이었다. 그러면서도 40년 전에는 아무리 성공적인 발굴이었다고 해도 발굴 정보가 축적되고 발굴 기술도 발전한 오늘날 기준으로는 부족함이 없지 않았으리라는 것은 상식이라고 했다.

월성을 비롯한 신라 왕경을 발굴 조사하고 있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좌담회를 마련한 것도 단순한 과거의 회고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의 조사 방향에 대한 고민을 나누어 보자는 취지였을 것이다. 참석자들은 월성의 조속한 발굴과 왕궁 복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의식한 듯 “발굴도 결국은 유적 파괴”라면서 “절대 서둘러서는 안 될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발굴 조사의 목적은 잊힌 역사를 복원하는 것이다. 하지만 보물을 찾아내거나 옛 구조물을 복원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없지 않다. 땅속에서 금붙이를 찾아내는 것이 발굴의 목적이라면 시간을 끌 이유는 전혀 없다. 하지만 역사 복원에는 보통 사람에게는 별것 아닌 것으로 보이는 사소한 정보가 결정적 역할을 한다. 다시 거론하기도 미안하지만 1971년 무령왕릉 발굴이 좋은 사례다.

조유전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발굴은 곧 파괴인 만큼 고고학자인 나는 유적 파괴로 점철된 인생을 살았다”고 말한다. 특히 하루 만에 졸속으로 끝낸 무령왕릉 발굴 조사는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할 업보라고 토로하고 있다. 아예 발굴하지 말았어야 했다는 것이다. ‘졸병’으로 참여했다는 그의 회한이 이럴진대 발굴 책임자의 고통은 훨씬 심각했을 것이다.

원로 고고학자가 아니더라도 발굴이 곧 파괴라는 것은 상식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에도 ‘발굴은 유적의 현상을 파괴하는 일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발굴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못 박고 있다. ‘학술 목적상 중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발굴을 하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부분을 발굴하여 기본 자료를 얻도록 해야 한다’는 대목도 보인다. 발굴이 목적의 하나인 기관이 오히려 발굴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금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는 과거의 모습을 복원하기 위한 발굴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서두를수록 자기 고장과 해당 유적 역사의 재구성은 멀어질 뿐이다. 중국이 시안의 진시황릉을 두고 전면 발굴은 아직 때가 아니라며 후손들에게 과제를 넘겨주고 있는 것의 의미를 깨달아야 한다. 땅속에 그냥 놔두는 것보다 안전한 유적 보존 방법은 없다. 꼭 필요한 발굴 조사도 미래에 넘기면 훨씬 더 많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2015-11-05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