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양진건 유배의 뒤안길] 유배와 위로

[양진건 유배의 뒤안길] 유배와 위로

입력 2016-09-20 23:04
업데이트 2016-09-21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양진건 제주대 교수
양진건 제주대 교수
추석 연휴에 제주를 찾은 지인들을 모시고 유배지 가이드를 해 드렸다. 김정희(1786~1856)는 제주도에서도 위리안치(圍籬安置)라고 해서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유배인을 그 안에 가두는 형을 받았다. 가시울타리로 제주도에서는 개탕쉬낭이라 불리는 탱자나무가 사용됐다. 그런데 가서 보니 가을이라 마침 울타리마다 탱자가 가득 달려 있었다.

가시울타리라고 해서 살벌할 줄 알았는데 풍성한 열매들 덕분에 지인들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은 모양이었다. 봄에는 하얀 꽃이 가시마다 만개해서 또한 볼만하다고 말했더니 예술가였던 추사를 위한 좋은 선물이라고도 했다. 꽃 가운데서도 추사는 특히 제주도 수선화를 좋아했다. 그 귀한 수선화가 제주도에 지천으로 널려 있는 것을 보면서 “천하에 큰 구경거리”(天下大觀)라고 크게 감탄할 정도였다. 그런데 그 귀한 꽃이 소나 말의 먹이로 쓰이고 있다니, 이렇게 수선화의 가치가 외면당하는 현실을 추사는 자신의 불우한 처지에 비유하면서 자신을 위로하기도 했다.

1815년 6월 워털루전투에서 패한 나폴레옹(1769~1821)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나폴레옹을 위로해 준 것은 커피였고 “이 섬에서 쓸 만한 것은 커피뿐이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는 커피로 위로를 받으며 그 섬에서 죽었다. 세인트헬레나 섬에서는 일찍 커피가 재배됐지만 나폴레옹이 칭송할 때까지는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나폴레옹을 얘기하게 되니 넬슨 만델라(1918~2013)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남아프리카 로벤 섬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만델라는 톨스토이로부터 위로를 받았다. 그는 형무소에서 생애 처음으로 소설을 읽을 결심을 하게 된다. 그의 평전에서 “만델라의 가슴속에 살고 있는 지칠 줄 모르는 벌이 톨스토이로부터 꿀을 따게 된다”고 할 정도로 그는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로부터 많은 감동과 위로를 받는다.

특히 만델라는 “쿠투조프 장군이 자기 나라 사람들에 대해 마음속 깊이 이해했기 때문에 나폴레옹을 물리칠 수 있었다”는 대목에서 깊은 감동을 받고 “국민을 잘 이끌기 위해서는 국민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게 돼 후일 세계 인권운동의 상징으로 훌륭한 대통령이 된다.

위로(慰勞)는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 주는 것이다. 위로를 해 주는 대상은 상대방이 될 수도 있지만 자신이 스스로를 위로하는 경우도 있다. 유배인은 스스로를 위로했던 사람들이라 해도 틀리지 않다. 유배지 흑산도에서의 고독과 불안으로 끊임없이 술을 찾았던 정약전(1758~1816)이 자신의 위로에 실패했다면, 500여권의 집필로 18년의 유배 생활을 견뎠던 정약용(1762~1836)은 자신의 위로에 성공한 사람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폭염을 생각하면 다시는 오지 않을 줄 알았는데 어김없이 가을이 왔다. 헤르만 헤세의 말처럼 “벌써 시든 잎들에서 부식된 공기의 냄새가 난다.” 가을은 자신의 위로가 필요한 계절이다. 그래서 “내가 지어야 할 농사를 내가 지어서 내 삶을 보살피고, 내가 가진 책을 내가 읽어서 내가 좋아하는 일을 추구하며,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하며 내 인생을 마치려 한다”(吾耕吾稼 以養吾生 吾讀吾書 以從吾好 吾適吾意 以終吾世)던 유언호(1730∼1796) 같은 유배인의 뜻을 배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2016-09-2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