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태주 풀꽃 편지] 밥과 흰 구름

[나태주 풀꽃 편지] 밥과 흰 구름

입력 2016-10-02 18:02
업데이트 2016-10-0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나태주 시인
나태주 시인
오랫동안 시를 써 오면서 나는 자주 ‘시는 밥이요 물이요 공기다’라는 말을 자주 해 왔다. 시가 나한테 그만큼 소중하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실상 나에게 시는 사치품이 아니라 실용품이다. 시 쓰는 일 또한 한가한 취미생활이 아니라 일상생활이다. 죽느냐 사느냐 그 선택의 문제였고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그 자체이다.

정말로 시를 쓰지 않으면 죽을 것 같은 때가 많았고 나에게 시가 있었기에 수많은 삶의 위기를 그런대로 넘길 수 있었다. 특히 시는 감정의 피뢰침 역할을 해 주었다. 그냥 구렁텅이에 빠질 뻔한 때에도 시가 있었기에 번번이 그 질곡에서 잘 헤어 나올 수 있었으니까 말이다.

그런 점에서 시는 나에게 실용품이고 생활필수품이다. 필요한 그 무엇이다. 유용한 그 무엇이다. 그건 정말로 그렇다. 세상의 그 어떤 것도 필요하고 유용한 것만이 가치가 있는 것이고 환영을 받는다. 그런 점에서는 사랑도 필요한 것이요 유용한 그 무엇이라고 나는 말을 한다.

그런데 여기서 잠시 생각을 다시금 정리해 본다. 정말로 시는 필요한 것이기만 한 것인가? 그것도 당장 필요한 것, 그러니까 밥이나 물이나 공기이기만 한가? 일단은 그렇다고 해 두자. 그런데 길게 보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닌 것도 같다. 시는 당장 현실적으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먼 미래에 더욱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바로 그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우선 당장 필요한 것은 밥이다. 인간은 먹는 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죽을 수밖에 없는 생명체이니까 그럴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일생을 살면서 오직 밥만 해결하기 위해서 산다고 하면 너무나 슬프고 쓸쓸한 이야기가 된다.

어려서 내가 다닌 학교는 사범학교였다. 사범학교를 다닐 때 한 학년 위 선배 가운데 S라는 선배가 있었다. 그림에 탁월한 재주가 있었다. 한국화 그림을 잘 그렸다. 고등학교 학생인데도 100호짜리 그림을 척척 그렸다. 선생님이나 동기들로부터 장래가 촉망된다는 칭찬을 많이 들었다.

정해진 코스에 따라 그 선배도 초등학교 교사가 되었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사는 고달팠고 가난하기까지 했다. 일찍 결혼해서 아이를 여럿 낳았는데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시원스럽게 사서 먹이지 못하는 아빠가 되었다. 그때 서울 쪽의 사립학교에서 미술교사 스카우트 제안이 왔다.

선배는 선뜻 그 제안을 받아들였다. 서울로 향하면서 선배의 생각이 그랬다. 내가 그림에 재주는 있지만 그 재주를 가지고 사립학교에 가서 아이들을 가르쳐 우리 자식들이 원하는 음식을 사서 먹이고 옷을 사서 입히면 그것도 좋은 일이라고. 그랬다. 선배의 꿈은 큰 냉장고 하나를 사서 거기에 소시지를 가득 채우고 자기 아이들에게 맘껏 먹이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뒤는 어찌 되었나? 화가의 꿈은 사라지고 평범한 생활인이 남았을 뿐이다. 그러니까 장래에 촉망받는 화가 한 사람과 냉장고 하나와 거기에 가득한 소시지와 맞바꾼 셈이다. 생각해 보면 그 선배의 재주가 참 아깝다. 그냥 버릴 만한 재주가 아니었는데 말이다.

그렇게 선배는 밥을 선택했다. 그러나 내 생각은 아니었다. 밥과 함께 흰 구름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밥은 당장은 생명을 주지만 그 이상은 없다. 그것으로 끝이다. 반면 흰 구름은 당장은 고달프고 효용성이 없어 보이지만 먼 그리움과 함께 대지에 비를 내려 주고 축복을 약속한다. 보다 근본적인 생명을 준다.

이쯤에서 나의 생각은 조금 수정을 요한다. 시는 밥이기도 하지만 흰 구름이기도 하다. 때로는 더욱 많이 흰 구름이어야 한다. 인생은 의외로 지루하고 길다. 당장 눈앞에 주어진 밥만 보고서 살 수는 없는 일이다.

지금 여기에 없는 것, 보다 멀리 있는 것들을 소망하면서 사는 삶도 좋은 것이다. 영혼의 작업을 하는 나 같은 시인에게는 더욱 그것이 그렇다. 오늘날 젊은 세대들도 지나치게 목전의 밥만을 염두에 두면서 살지 말고 자기가 꿈꾸는 먼 하늘의 흰 구름을 가슴에 품고 살아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시인
2016-10-03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