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음악산업정책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이유/박준흠 BP음악산업센터장

[In&Out] 음악산업정책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이유/박준흠 BP음악산업센터장

입력 2017-04-18 22:28
업데이트 2017-04-19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음악산업정책은 아직까지 ‘진흥’과 ‘지원’의 관점조차도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기관도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중앙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음악시장을 성장시키기 위한 정책을 고려할 때의 오류 중 하나는 ‘생산’ 중심으로만 바라본다는 점이다. 좋은 음악들이 생산되면 음악시장이 성장할 것이란 낙관적인 사고이다. 이는 산업 기반이 아닌 순수예술 지원 정책에 근거한다. 그래서 창작 지원 쪽에 초점을 맞추면서 음반제작비, 녹음시설 등을 지원하는 방식을 주로 채택한다.
이미지 확대
박준흠 BP음악산업센터장
박준흠 BP음악산업센터장
관의 입장에서는 예산을 사용한 결과가 가장 확실하게 드러나면서 정산을 하기에 용이한 하드웨어(시설) 투자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소비처와 그 크기에 따라서 생산이 결정될 수밖에 없고, 아울러 ‘지속적인 소비’가 이뤄지지 않으면 역시 ‘지속적인 생산’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음악시장 성장 또는 음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어떤 정책적 선택을 해야 할 것인지를 다시 따져봐야 한다. 즉, ‘소비가 생산의 원활함을 결정한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 음악산업정책에서 가장 시급한 부분은 무엇일까. 아마 음악산업을 바라보는 관점과 현실적인 진흥정책 그리고 이를 추진할 기관일 것이다. 일례로 대중음악 마케팅에서의 핵심은 ‘아티스트’와 ‘작품’이란 점을 간과해 오고 있고 음악시장을 키우려면 음악사업 기획자, 마케터, 연구자들이 필요하다는 점도 놓치고 있다. 한국의 대중음악 교육만 보더라도 연주자 양성 중심의 실용음악대학만 있지 미국, 유럽에선 보편적인 음악산업 학제는 없는데, 이런 현실에서 음악산업 진흥을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다. 이명박 정부 때까지 발표되었던 문화체육관광부의 ‘음악산업진흥 5개년계획’ 수립이 중단된 점도 아쉽다. 그간 영화계의 영화진흥위원회와 같은 독립적 정책기관으로 대중음악진흥위원회가 논의되어 왔지만 현실적으로 설립이 쉽지 않다면 문체부 산하에 음악산업진흥원 또는 음악산업진흥센터 정도는 필요하리라고 본다. 왜냐하면 음악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정책적인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부평 음악도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문체부, 인천시, 부평구의 지원을 받아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부평구문화재단에서 추진하는 국내 최초 음악도시 조성 사업이다.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는 1907년에 첫 음반이 나온 이래 11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 역사적 배경하에서 진행되는 도시 브랜드 마케팅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업은 BP음악산업(센터, 아카데미), 콘텐츠 개발, 아카이브, 음악마을, 음악교육, 시민생활 세부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음악산업센터는 음악도시 사업에서 정책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일례로 ‘음악도시 5개년 실행계획’을 세우는 업무 등을 진행하고 인천·부평의 도시 브랜드 구축과 음악인의 지속가능한 활동 기반을 마련하는 정책사업을 하려 한다. 그래서 한국 음악시장을 키우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산업아카데미를 핵심사업으로 두었다. 아카데미는 음악인이 자생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업기획을 하는 전문가 양성 사업이다.

BP음악산업센터는 기존 음악창작 지원 단계를 넘어서서 음악인에게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및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다. 비록 기초자치단체의 사업으로 시작했지만 한국 음악산업계에 던지는 시사점이 있으리라고 본다. 문체부와 CJ E&M, 로엔엔터테인먼트도 깜짝 놀랄 만한 새로운 음악사업 기반 조성이 여기서 이뤄질 수도 있지 않을까.
2017-04-19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