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브런치] 대선 주자들이여, 과학 책 좀 보시죠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브런치] 대선 주자들이여, 과학 책 좀 보시죠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04-18 22:28
업데이트 2017-04-19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을 위한 과학은 없다. 아니 대통령이 과학을 알 필요는 없다.
이미지 확대
유용하 사회정책부 기자
유용하 사회정책부 기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나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세계적으로도 무척 예외 사례다. 메르켈 총리는 물리학 박사이고 오바마 전 대통령은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의학협회저널’과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논문과 보고서를 발표했으니까.

사실 비전문가인 대통령이 과학책 몇 권을 읽었다고 과학자만큼 전문가가 될 수는 없다. 나라 안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대소사에 관여해야 하는 대통령이 물리나 화학법칙, 수학 공식을 모른다고 흠이 된 적도 없다.

심지어 ‘백신이 자폐증의 원인’이라든지 ‘돈을 못 버는 과학은 필요없다’는 식의 반(反)과학적 이야기를 공공연히 떠드는 도널드 트럼프도 세계 최강국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대선 기간은 물론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트럼프는 유독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심지어 꾸준히 반과학적 발언들을 쏟아낸다.

세계적 과학 저널의 양대 산맥인 ‘사이언스’와 ‘네이처’는 그를 두고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악의 반과학적 대통령”이라고 혹평하면서 그의 과학관을 공격하고 있다.

우연찮게도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메르켈이나 오바마의 대중적 인기는 높은 반면 트럼프는 역대 최악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역대 대통령들도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이들의 인기 순위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19대 대통령 선거일을 20일가량 남겨 둔 현재 대통령 후보들의 공약에서 과학기술 분야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과학 이슈가 주목받지 못한다는 것은 과학기술이 국가 철학으로 확고히 자리잡고 있어서 권력의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거나, 표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후자에 더 가깝다. 사실 역대 대선 기간에 과학 이슈가 부각된 적이 거의 없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괜시리 흥분할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경제, 산업 공약인 ‘4차 산업혁명’을 과학기술 공약이라고 앞다퉈 주장하는 것을 보면 코미디를 보는 느낌이다. 세상은 하루가 멀다 하고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가 열린 지 10년이 훌쩍 넘도록 3만 달러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빨리 몸을 맡겨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별 생각 없이 앵무새처럼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이 이미 만들어 놓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무작정 몸을 맡겨 봐야 선진국의 뒤를 따라가는 ‘패스트 팔로어’가 될 뿐 ‘퍼스트 무버’는 될 수 없다. ‘새로운 세계, 더 나은 세계’를 꿈꾼다는 정치인들이라면 그 흐름에 올라타기만 하면 되는지, 그 방향이 맞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새 대통령이 선진국으로 가는 문을 열고자 한다면 인류의 역사와 과학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맺어 왔고, 기초과학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은 필수적이다. 그런 차원에서 5월 10일 취임하는 새 대통령에게 한 가지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다.

“대통령이시여, 과학사 책을 좀 읽으십시오.”
2017-04-19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