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누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직언할까/최용규 논설위원

[서울광장] 누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직언할까/최용규 논설위원

최용규 기자
입력 2017-05-16 22:54
업데이트 2017-05-16 2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옛날로 치면 나라가 쇠하고, 오늘날 같으면 정권의 몰락은 권력 1인자 주변에 교언영색으로 치장한 자들로 둘러싸여 있을 때다. 박근혜 정권의 몰락도 최순실 같은 무리가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리고 막지 않았다면 이처럼 처참한 결말은 있지 않았을 것이다. 이른바 ‘문고리 권력’이라는 3인방도 환관이나 다를 바 없는 최씨의 팔다리 역할을 했으니 박 전 대통령이 선정을 펴는 데는 애초부터 불가능했던 구조다.
이미지 확대
최용규 편집국 부국장
최용규 편집국 부국장
적어도 국가를 운영하려면 팔다리나 양 날개처럼 권력 1인자를 곁에서 도와줄 인재들이 있어야 한다. 태공망은 주나라 무왕에게 보좌진 구성과 관련, 한명의 복심(腹心一人)을 두도록 했다. 복심은 모사와 천문, 지리, 병법, 군량 등 18가지 분야 72명 가운데 한 명이다. 흔히 심복으로도 일컬어지는 복심에게는 모든 작전 계획을 총괄토록 해 백성의 목숨을 온전히 지키는 일을 맡긴다. 몸은 달라도 마음은 하나인 셈이다.

그러므로 복심의 조건은 선공후사다. 공(公)은 직언이 생명이다. 우리는 이런 역사를 초한쟁패에서 배운다. 항우를 끝까지 지키다 버림받고 쓸쓸히 병사한 범증이 모델이다. 항우가 유방에게 패할 줄 항우는 몰랐지만 범증은 알았다. 그러나 범증은 홍문의 연에서 유방을 죽일 것을 항우에게 직언했으나 항우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후 범증은 유방이 승리할 줄 알고 있었으나 유방의 달콤한 유혹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3인방 중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출국하면서 남긴 글이 여운을 남긴다. 그는 “‘삼철’로 불리는 우리는 범죄자가 아니다. 문 대통령이 힘들고 주변에 사람이 없을 때 곁에서 묵묵히 도왔을 뿐”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정치적 반대자들은 ‘삼철’을 공격했고 일부 언론은 이를 증폭시켰다”고 서운한 속내를 감추지 않았다. “이런 비난과 오해가 옳다거나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괜찮다. 담담하게 받아들인다”고도 했다. 자유를 위해 먼 길을 떠난다고 했지만 떠나는 뒷모습이 무척 쓸쓸해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친문이 아닌 비문의 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국정원장 등의 첫 인사는 국민 눈높이로 봤을 때 박수받을 만하다. 51세의 젊은 비서실장이 “예스맨이 되지 않겠다. 대통령과 격의 없이 토론하겠다”고 했을 때는 신선했다. 권위의 옷을 벗어던지고 소통하는 권력의 의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관심은 삼철 중의 핵심 인사가 과연 어떤 직책을 맡을지에 꽂혔다. 청와대 인사와 살림살이를 관장하는 총무비서관에 낙점될 것이란 세간의 예측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그는 “정권교체를 갈구했지 권력을 탐하지 않았다”며 어제 백의종군을 선언했다.

창업과 수성은 다르다는 말이 있다. 현재까지의 인사만 보면 수성 쪽에 무게가 실린 느낌이다. 그런데 휑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호철이 언급한 “문 대통령이 힘들고 주변에 사람이 없을 때 곁에서 묵묵히 도왔을 뿐”이라는 대목 때문이다. 태공망의 심복의 조건이 있다. 마음으로 복종하는 것은 기본이다. 여기에 반드시 뒤따라야 하는 것은 인정이 아니라 ‘능력’이다. 계략을 세우는 것을 돕고 갑작스런 사태에 적절히 대응하며, 하늘의 움직임을 헤아려 변괴를 없애고, 모든 작전계획을 총괄해 백성의 목숨을 온전히 지키는 일을 맡게 된다.

처음 도전한 국회의원 당내 경선에서 패하자 부산에서 총선에 출마한 문재인 대통령을 도와야 한다며 바로 부산행 열차에 몸을 실었다. 마음으로 복종했던 것이다. 나라의 인재들을 모셔 와 수년 뒤 문재인 후보를 대통령에 당선시켰다. 갑작스런 사태에 적절히 대응했고 작전계획을 총괄했다. 그래서 문재인의 복심이란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문 대통령 당선 후 지금까지의 모습은 단지 보여지는 것이 괜찮고 아름다울 뿐이다. 본격적인 정책은 아직 시험대에 오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대부분의 정책은 양면적이다. 호불호가 명백한 만큼 환호 못지않게 반발과 도전은 상존한다. 이때 대통령에게 필요한 것은 사심 없는 직언이다.

ykchoi@seoul.co.kr
2017-05-17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