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깁다, 깊다, 집다, 짚다

[말빛 발견] 깁다, 깊다, 집다, 짚다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5-24 22:50
업데이트 2017-05-24 2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깁다’와 ‘깊다’는 소리가 같다. 굳이 따지자면 ‘깁다’는 [깁ː따], ‘깊다’는 [깁따]이다. 길고 짧음의 차이가 있다. 이것을 알아차리기는 아주 어려운 일이다. 이 차이로 뜻을 구별하지도 않는다. 표기에서 혹은 쓰인 맥락에서 의미를 쉽게 이해한다. 두 단어는 표기를 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어미가 변하는 활용 형태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깁다’는 ‘기워’, ‘기우니’처럼 불규칙한 활용을 한다. 받침의 ‘ㅂ’이 ‘ㅜ’로 바뀌는 것이다. 본래 ‘깁다’의 ‘깁’에서 받침 ‘ㅂ’은 아래 ‘ㅇ’이 붙은 순경음비읍(ㅸ)이었다. 가볍게 나는 소리였다. 이 소리가 우리말에서 사라지면서 ‘ㅂ’이나 ‘ㅜ’로 바뀌게 된다. 이 과정에서 ‘깁어’가 아니라 ‘기워’가 됐다. ‘깊다’는 이와 관련이 없어서 ‘깊어’, ‘깊은’처럼 쓰인다. 의미도, 쓰이는 형태도 달라서 헷갈리는 일이 거의 없다.

‘집다’와 ‘짚다’는 표기할 때 조금 혼란을 겪는다. 이 말들은 소리도 똑같이 [집따]다. 의미도 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 그렇더라도 대체로 구별되는 데가 있다. ‘집다’는 ‘연필을 집다’, ‘동전을 집다’에서처럼 손으로 쥐는 것이다. 무엇을 가리켜 드러낼 때도 ‘집다’가 된다. ‘꼭 집어 말해’, ‘한 사람만 집어서’…. 이때 ‘짚다’라고 잘못 선택해 표기하는 일이 있다. ‘짚다’는 ‘손을 대거나 누른다’는 데 중심이 놓인다. ‘맥’도 ‘지팡이’도 ‘짚는다’. ‘짐작하는 일’도 ‘짚다’다. ‘헛다리를 짚다.’ ‘시험 문제를 짚다.’ ‘짚다’는 더듬으면서 더 섬세하게 짚는 듯 다가온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7-05-25 29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