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중소기업과 사람 중심 경제로 미래 50년 대비하자/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In&Out] 중소기업과 사람 중심 경제로 미래 50년 대비하자/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입력 2017-06-04 18:00
업데이트 2017-06-05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년 전 1인당 국민소득이 100달러도 안 됐던 대한민국은 한강의 기적을 만들었다. 열심히 일했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투자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른바 대기업 기반 요소투입형, 투자 주도형 경제를 일으킨 셈이다. 하지만 효율성 기반 성장 모델은 늙어 국민경제 모델로서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 7%대였던 경제성장률은 5년마다 1% 포인트씩 떨어지고 있다. 지금 2%대 후반이지만 머지않아 1%대로 하락할 것이다. 이때쯤 한국 경제에 큰 위기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늘 구조조정을 외치지만 국제 경쟁력은 떨어지고 있다. 한진해운은 청산됐고, 대우조선해양도 미래가 불투명하다. 저원가 조립을 통한 대기업 중심 경제가 성장 한계에 이른 것이다. 청년실업률도 10%를 넘어섰다. ‘혁신의 역설’ 현상도 심각한 문제다. 중소기업 혁신의 성과는 대기업에 귀속되고, 종업원의 임금 인상으로 연결되지 못한다. 중소기업 직원의 급여 수준은 대기업의 60% 이하에 머문다. 따라서 미래 50년의 새로운 경제 모델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이 모델의 핵심은 중소기업과 사람 중심 기업가 정신을 활용하는 것이다.

첫째, 대기업 중심 경제에서 중소기업 기반의 혁신 생태계 경제로 바꿔야 한다. 지난 10년간 신규 일자리 창출의 기여도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이 92.2%, 대기업이 7.8%를 차지하고 있다. 대기업 중심 경제는 ‘혁신=산출/투입’에서 투입의 효율성을 위해 원가 절감에 집중하는 모델이다. 종업원은 늘 비용 절감과 구조조정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종업원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없는 구조다. 중소기업 기반의 혁신 생태계 경제는 투입 요소의 효율성보다 산출 요소의 차별성과 부가가치력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립 생산성보다는 사람 창의성 제고가 필요하다. 우리 중소기업의 최대 약점은 매출에서 차지하는 해외 수출 비중이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약점은 미래 기회가 될 수 있다. 중소기업이 글로벌화한다면 엄청난 에너지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중국 제품과의 차별화를 확실히 해야 한다.

둘째, 사업 중심 경제에서 사람 중심 경제로 바뀌어야 한다. 기업의 3대 혁신 자원은 투자, 기술, 사람이다. 지금까지 기업 혁신은 설비투자에 집중한 기술혁신이었다. 이제 사람의 헌신을 통한 혁신으로 바꿔야 한다. 한국은 장시간 근무하는 나라이지만 업무 몰입도가 세계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 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원인 종업원은 ‘기업의 발전이 나의 발전’이라는 주인의식이 약하다. 중소기업에 미래 성과공유제 도입과 기업문화 혁신이 필요하다. 종업원과 미래성과를 공유하고 사람 중심 기업가 정신을 실천하겠다는 기업가의 의식 변화도 필요하다.

셋째, 관리자형 경영에서 기업가형 경영으로 바뀌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미래 성장 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개척으로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원가 관리를 강조하는 ‘관리자 경영’에서 신시장에 도전하는 ‘기업가 정신 경영’으로, 사람을 혁신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구조조정 경영에서 사람이 혁신의 주체가 되는 사람 중심 경영으로 변화해야 한다. 기업 간 경쟁보다 기업 간 협력이 더 필요한 시기다.

문재인 정부는 분배를 강조하지만 혁신을 통한 성장 없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조연에 머무르고 있는 중소기업과 사람을 주연으로 내세우자. 중소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혁신을 제대로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돈과 설비가 아니라 사람이 중심이어야 하고, 헌신이 성과를 만들 것이다. 기업가들이 성과를 종업원과 공유할 수 있을 때 혁신의 선순환이 만들어질 수 있다.
2017-06-05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