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욱의 파피루스] 홍루몽 시회―자연의 테크닉

[서동욱의 파피루스] 홍루몽 시회―자연의 테크닉

입력 2017-06-16 18:02
업데이트 2017-06-17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은 유실됐지만, 대학 때 두 문화를 대표하는 ‘홍루몽’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비교하는 글을 즐겁게 쓴 적이 있다. 두 작품은 지금은 사라진 세계, 동양과 유럽 귀족 사회를 우아한 필치로 다룬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여자들 틈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고 다소 한심한 구석이 없지 않은 두 아이, 가보옥과 마르셀의 이야기인 이 책들은 모두 저자들이 한 번 겪은 후 상실한 세계에 대한 추억 속에서 쓰였다.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잃어버린 시간…’만큼 ‘홍루몽’도 주인공들의 문학 취미에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홍루몽의 저자 조설근은 연극과 시에 깊이 빠져 있던 사람이 분명한데, 시에 대한 그의 애정은 이 소설의 아주 근사한 시회(詩會) 장면으로 승화되어 있다.

가보옥과 집안의 아가씨들은 국화를 주인공 삼아 시회를 여는데, 국화에 관한 열두 가지 시제가 나온다. 첫째 국화를 생각한다는 의미에서 ‘억국’(憶菊), 둘째 국화가 보이지 않을 때 찾는다는 ‘방국’(訪菊), 셋째 국화를 찾은 이상 심어야 하니 ‘종국’(種菊), 넷째 심은 국화가 꽃이 만발할 때 마주 보니 ‘대국’(對菊), 다섯째 국화를 꺾어서 병에 모시니 ‘공국’(供菊), 모셔 놓은 꽃을 시로 읊지 않으면 빛을 잃을 테니 여섯째는 ‘영국’(?菊), 읊은 국화를 그림으로 옮겨야 하니 일곱째는 ‘화국’(畵菊), 여덟째는 국화가 이렇듯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까닭을 묻지 않을 수 없으니 ‘문국’(問菊), 아홉째 ‘잠국’(簪菊), 열두 번째는 ‘잔국’(殘菊)이란 주제다.

놀라운 것은 다른 주제들이 끝날 즈음 출현하는 열째와 열한 번째 주제이다. “이리하여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은 끝난다 하더라도 국화 자신은 아직도 더 읊을 점들이 남아 있거든. 이를 테면 국화의 그림자와 국화의 꿈 같은 것 말이야. 그래서 열째와 열한 번째는 ‘국영’(菊影)과 ‘국몽’(菊夢)이 되지.”

인간과 상관없이 국화 스스로 할 일이 있다는 것이다!

국화를 시로 옮기는 일은 예술이라는 인위적 테크닉이 떠맡는다. 그런데 중국의 이 예술가는 열째와 열한 번째 주제를 국화 혼자서 하는 테크닉을 위해 비워 두고 있다. 왜냐 하면 인간이 테크닉을 구사하기 전에 자연 자체가 이미 테크닉이기 때문이다. 자연은 세상의 어떤 예술가도 흉내 낼 수 없이 국화 자체를 피워내고 국화는 스스로 고즈넉이 그림자를 떨어뜨리고 또 혼자서 꿈꾼다. 국영, 국몽. 자연이 이런 대단한 테크닉을 구사한 이후에야 비로소 인간의 테크닉은 부가적으로 자연의 작품에 달라붙어 이런 저런 궁리를 하는 것이다. 그러니 ‘홍루몽’의 예술가는 인간이 부릴 수 있는 예술적 테크닉에 자만할 수 없었고, 자연 스스로 하는 테크닉, 국화 스스로 짓는 국화시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는 일로 예술가의 겸손을 표현했던 것이다.

이런 테크닉을 발휘하는 자연을 고대 그리스인들은 ‘퓌시스’라 불렀다. 스스로 생산하고 스스로 펼쳐지는 자연 말이다. 이 자연이 발휘하는 저 기술, 테크닉의 뿌리 말은 그리스인들의 말 ‘테크네’인데, 이는 ‘밖으로 끌어내 놓음’을 뜻한다. 이 테크네 때문에 자연만이 무(無)에서 국화 한 송이를 인간의 눈앞에 끌어내 놓을 수 있다.

인간의 테크닉은 ‘기술’과 ‘예술’이다. 예를 들어 자연의 테크닉이 먼저 강(江)을 세상으로 끌어내 오면, 그 뒤에야 인간의 테크닉이 다가가 강에 다리를 세우거나(기술), 강에 대한 시를 짓는다(예술).

그러니 인간의 테크닉(기술과 예술)이란 자연의 테크닉 안에 있을 수밖에 없으며 또 자연의 테크닉 안에 있어야만 한다. 하이데거가 말하듯 “이 모든 일(기술, 예술)은 ‘자생적으로 피어오르는 존재자’, 즉 ‘퓌시스’의 한가운데서 일어난다.”

비극은 언제 생겨나는가. 자연의 테크닉에 맞추어 인간의 테크닉이 일하지 않고, 거꾸로 인간의 테크닉에 자연을 맞추려 할 때 생긴다. 온갖 환경 문제의 모습으로 자신을 알려오는 이 비극을 오늘날 우리는 4대강의 고통으로 체험하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테크닉이 자연의 테크닉을 압도할 수 있다는 오만에서 태어난 비극이다. ‘홍루몽’의 예술가처럼 인간은 자연이 발휘하는 기술을 위한 자리를 비워 두어야 하는데 말이다.
2017-06-17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