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6·25 전쟁, 어둠 속에서 찾는 희망/이경근 서울지방보훈청장

[기고] 6·25 전쟁, 어둠 속에서 찾는 희망/이경근 서울지방보훈청장

입력 2017-06-29 17:52
업데이트 2017-06-29 18: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경근 서울지방보훈청장
이경근 서울지방보훈청장
제67주년 6·25 전쟁일이 지났다. 이와 관련해 우리는 반세기 전의 어두운 역사, 동족상잔의 비극, 수많은 인명 피해, 분단의 고착화 등을 주로 떠올린다. 물론 이러한 인식들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6·25 전쟁이 부정적이고 어두운 인식 일변도로 흐르는 것은 경계해야 할 일이다. 이에 37개월간의 전쟁에서 피어난 의미 있는 가치와 계승돼 온 숭고한 정신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전쟁 발발 한 달 만에 대한민국은 국토의 80%를 상실했다.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병력과 군비, 그리고 시간마저 극히 부족했던 우리에게 남은 것은 대한민국을 지켜 내겠다는 의지였다. 맥아더 장군을 감동시킨 병사의 일화를 비롯해 재일학도병 등 나이와 국적을 초월한 참전용사의 이야기는 누구라도 엄지를 세워 줄 만하다. 반만년 역사에서 위기를 맞았을 때마다 발현된 우리 민족의 이러한 호국 의지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애국심의 다른 표현이다.

대한민국은 37개월의 전쟁 기간 동안 21개의 유엔 참전국과 함께했다. 어떤 연고도 없는 대한민국을 위해 수많은 희생을 치렀지만, 이들은 우리와 함께한 전장에서의 기억을 자랑스럽고 소중하게 여긴다. 더 나아가 자신들이 지킨 대한민국이 잘되기를 바라며, 이러한 친한(親韓)의 정서는 그 후손들에게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끈끈한 인연은 혼돈의 국제 정세 속에서 대한민국 외교에 소중한 자산으로 기능하고 있다.

물론 6·25 전쟁으로 수많은 상이용사, 소중한 아들·남편을 잃은 유가족이 생긴 것은 사실이다. 이들의 아픔과 슬픔은 대한민국의 고통이자 비탄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들에게 최소한의 보상을 해 주기 위해 시작된 국가의 최소한의 기능인 보훈은 오늘날에 이르러 민족 정기와 국가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는 보훈문화 확립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되돌아보면 6·25 전쟁은 대한민국을 넘어 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가 겪은 가장 큰 전쟁 가운데 하나였다. 전후 폐허로 변한 한국의 참상을 보도한 외신들은 저마다 ‘대한민국은 다시 일어서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오늘을 보면 이들의 전망이 틀렸음이 분명해진다. 즉 근래 인류가 겪은 가장 큰 위기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발전의 계기로 삼은 것이다. 6·25 전쟁 이후 우리가 동시에 이룩한 경제발전과 민주화는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기 쉽지 않은 놀라운 성과다.

‘어둠 속에서 찾은 희망’이라는 이 글의 제목처럼 6·25 전쟁은 밝음과 어둠이 공존한다. 따라서 우리는 어둡고 부정적인 면들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고, 긍정적인 면들은 더욱 부각시켜 오늘의 평화와 자유를 이어 나가야 한다.

이 사명의 달성에도 앞서 언급한 호국정신과 끈끈한 혈맹의 존재, 보훈문화의 창달, 전화위복의 구현 등 6·25 전쟁의 긍정적 측면은 여전히 유효하다. 어쩌면 이들을 얼마나 잘 구현하고 계승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민국 미래의 향방이 갈릴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6·25 전쟁을 오로지 아픔과 비극으로만 기억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2017-06-30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