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안녕할 수 있을 때 안녕하십시다요들/김민정 시인

[문화마당] 안녕할 수 있을 때 안녕하십시다요들/김민정 시인

입력 2017-08-09 17:54
업데이트 2017-08-09 18: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민정 시인
김민정 시인
우리네 사는 일에 있어 밤새 안녕하기가 쉽지 않음을 밤새 안녕하지 못한 이들을 만난 자리에서 새삼 깨닫고는 한다. 아침이 오는 소리에 문득 잠에서 깨어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아침이 오는 소리에 아무리 흔들어도 잠에서 못 깨어나는 사람이 있는 게 우리 사람의 타고남이라 할 테니까.

살거나 혹은 죽거나 해봤자 입 아픈 소리겠지만 우리 중 그 누구도 이 갈림길에서 비켜 선 이는 있을 수 없다. 그런데 그럼에도, 우리 중 누군가는 타고난 제 팔자가 불사조인 양 호통 속에 막무가내 속에 뻔뻔함 속에 아니 할 말로 모두가 온갖 증거를 들이대며 죄인이라고 손가락질하는데도 발뺌하고 거짓말하고 적반하장 역으로 자신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라며 고소를 운운해 대니 어이가 없는 것은 둘째치고서라도 문득 입 밖으로 흘러나오는 물방귀 같은 이 말을 나는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곧 죽을 텐데 문밖 저승사자가 안 무서울까. 평생 먹은 거라곤 저주뿐이니 그 숨통 절대로 쉽게는 안 끊어질 것이야. 영화 ‘택시운전사’를 보는 내내 나는 사람이란 두 글자의 머리 위에 검은 방점을 땅땅 찍고는 그 사람이란 존재의 무시무시한 어려움에 자주 엄숙해지곤 했다. 대체 우리라는 ‘사람’을 어떻게 정의해야 그에 가장 가까운 이력이 될까.

없다 있는 것도 사람이요, 있다 없는 것도 사람인지라 그 사람 참 잘 잊고 사는 것 또한 우리렷다. 잊지 않으면 살 수가 없다는 것이 변명일 수는 있겠지만 그럼에도 안 잊고 어찌 살겠어라는 말은 슬프기 그지없다. 우리에게는 늘 바쁘다는 핑계가 깔려 있는 까닭이다. 전에 언젠가 가야금 하시는 황병기 선생님이 그런 말씀을 한 적이 있다. “난 누구 만나서 바쁘단 소리 들으면 기분 나빠요. 어린애들은 그런 소리 안 하잖아요.” 순간 무릎이 꺾이면서 가슴을 치고 만 데는 그 말을 산소호흡기처럼 달고 살던 내 일상의 퓨즈가 퍽 하고 나간 듯해서였다. 왜 나는 일이 아닌 정으로 친분 있는 누군가 디디려는 내 일상의 틈새마다 끓인 콘크리트 붓느라 내내 바빴던 걸까.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로 중환자실에 누워 버린 대학 동기의 면회 시간을 기다리며 나는 22년을 거슬러 그 친구와의 첫 만남부터 최근까지 이어진 인연의 되새김으로 초조함을 달래고 있었다. 형네 집에서 제 집 가는 5분 거리에서 일어난 피치 못할 사고. 그래 예상치 못하니까 사고라고 하는 거겠지. 전광판에 그 친구 이름의 마지막 글자가 별 모양으로 가려져 깜빡대는데 그걸 지켜보는 일 말고는 달리 노는 손을 어쩌지 못해 서로 주고받은 메시지나 반복해 꺼내 볼 뿐인데 ‘응?완전 바빠 가지고 정신이 하나 없다 야?내가 곧 연락할게?곧 보자?맛난 거 먹자?파이팅!’ 그러고 싹 잊은 나, 그저 그 순간의 반가움을 어떻게든 모면하고 만남의 시간을 미뤄 두는 데 급급했던 게 빤한 나, 그러나저러나 파이팅이라니, 대체 무엇을 위해 누구를 위한 파이팅이었단 말인가.

귀에 대고 얼른 일어나라고 너무 늦게 와서 미안하다고 내 마음 편할 말만 무책임하게 무한 반복해대는 동안에도 동기 녀석은 곤한 잠에서 깨어날 줄 몰랐다. ‘안녕?’하고 물을 때 ‘안녕!’하고 답해줄 걸 하는 뒤늦은 후회가 내 나름의 공부로 남아 마음을 더 무겁게 했다. 그러니까 사람이라면 자고로 서로의 안녕에 궤는 맞춰줘야 하지 않겠는가. 친필 사인을 해보낸 이들의 책들이 책상 한 귀퉁이에 쌓여 있다. ‘책 잘 받았습니다’하는 인사를 하고자 엽서를 사러 문방구 가는 지금이다.
2017-08-10 26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