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파만파 번지는 살충제 계란 파문…사실상 전국에서 검출

일파만파 번지는 살충제 계란 파문…사실상 전국에서 검출

입력 2017-08-17 11:15
업데이트 2017-08-17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환경 농가 60곳에서도 ‘살충제 계란’ 무더기 검출 ‘충격’

경기도에서 시작된 ‘살충제 계란’ 파문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사용이 금지됐거나 기준치를 초과한 살충제를 남용한 산란계 농장이 전국 곳곳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고, 소비자들이 믿고 사 먹었던 친환경 인증제품도 실은 부실하게 검증한 믿을 수 없는 제품이었단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정부는 17일까지 전국 1천239곳의 산란계 농장에 대한 살충제 전수조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지만 일각에서는 벌써 조사 자체가 부실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신뢰성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 전국으로 확산한 ‘살충제 계란’ 공포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7일 조사 대상 1천239개 농가 중 876개에 대한 검사를 마친 결과 29개 농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부적합 29개 농가 중 7개 농가가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피프로닐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비펜트린 등 사용은 허용됐지만 기준치를 초과해 살충제를 사용한 농가는 22개로 조사됐다.

특히 어떠한 농약도 검출돼서는 안 되는 친환경 무항생제 인증까지 받았는데도 농약 성분이 검출된 농가가 60곳에 달해 충격을 주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차 조사 대상이었던 대규모 농가에서는 기준을 위반한 곳이 6곳이었지만 소규모 농가까지 포함한 2차 조사에서는 훨씬 많은 수의 농가가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는 이미 예견됐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대형마트나 대형 슈퍼마켓 등에 계란을 납품하는 대규모 농가는 비교적 관리가 철저한 편이지만 그렇지 않은 소규모 농가들은 상대적으로 관리나 감독이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특히 전날까지 살충제 성분이 확인되지 않았던 경북이나 경남 지역의 농가에서까지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 ‘살충제 계란’ 파문사태가 사실상 전국으로 확산한 것으로 보인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의 소재지는 울산, 경기, 대전, 충남, 경북, 경남, 경기, 강원, 광주 등 사실상 전국에 걸쳐 있다.

앞으로 정부가 추가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산란계 농가가 위치한 지역 중 이번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의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추가로 검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살충제 범벅 계란이 친환경 제품이라니”…분노한 소비자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특히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가 60곳에서 ‘살충제 계란’ 무더기로 검출돼 소비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현재 전국에 있는 1천456곳의 산란계 농가 중 53%에 달하는 780곳이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가다.

친환경 인증을 받은 곳이 그렇지 않은 곳보다 많은 셈이다.

하지만 이번에 ‘살충제 계란’이 검출된 농가 중 상당수가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가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부실한 친환경 인증제도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많은 소비자는 친환경 인증을 정부가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은 정부의 위탁을 받은 64개 민간업체에서 대행하고 있다.

농식품부 산하 국립농산물관리원은 민간업체들이 인증 업무를 제대로 처리했는지 사후 관리만 한다.

민간업체들은 인증을 신청한 농가에 대해 서류 및 현장심사를 통해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고 친환경 인증서를 내준다.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가는 정부로부터 친환경 농산물 직불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 상품에 친환경 마트가 붙으면 그렇지 않은 상품보다 가격을 2배 가까이 비싸게 받을 수 있어 농가 입장에서는 매력적이다.

하지만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를 통해 여실히 드러난 것처럼 이 제도는 도입 당시부터 부실인증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2013년에는 민간 인증 대행업체 직원이 자신이 경작한 농산물에 이른바 ‘셀프인증’을 하는 등 대규모 부실인증 사태로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지난해 농식품부에 적발된 부실인증 사례만 2천734건에 달한다.

이 때문에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민간에 위탁해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친환경 인증 권한을 정부가 다시 넘겨받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고 운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부 박 모(42·서울 종로구) 씨는 “그동안 계란에 친환경 마크가 붙어있으면 믿고 사 먹었는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신뢰가 완전히 무너졌다”며 “국민의 필수 먹거리에 대해서는 정부가 더욱 철저히 관리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