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합격 농장→ 불합격으로… 지자체 관할 500여곳은 손도 못대

합격 농장→ 불합격으로… 지자체 관할 500여곳은 손도 못대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8-18 22:42
업데이트 2017-08-18 2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신 커지는 달걀 재조사

농관원 직원들 양심고백… 121곳 재조사

정부가 ‘살충제 달걀’ 조사 신뢰성이 의심스러운 농장을 다시 검사한 결과 2곳의 친환경 농장에서 살충제가 검출됐다. 충남 천안의 윤모씨 농장에서는 금지 살충제인 피프로닐이, 인천 강화의 씨케이파머스에서는 기준치를 넘은 비펜트린이 나왔다. 재검사를 하지 않았더라면 안전한 달걀로 둔갑해 밥상에 오를 수 있었다는 얘기다. 정부의 재검사가 일단락됐지만 소비자 불안을 없애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검사 농장이 전체 조사 대상의 10%에 못 미치는 데다 500개가 넘는 일반 농가는 재검사 대상에서 아예 제외됐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부실 검사 죄송합니다”
“부실 검사 죄송합니다”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내 ‘살충제 달걀’과 관련한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대책 발표에 앞서 김 장관은 부실한 검사가 이뤄진 점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121개 농장에 대한 재검사 내용도 같이 공개했다. 농식품부는 전날 서울신문이 일부 농가의 시료 채취가 규정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부랴부랴 표본 재추출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언론이 문제를 제기한 지역 농가를 중심으로 ‘스폿 체크’를 해서 재검사 대상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전수조사를 진행한 농식품부 산하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양심 고백’을 받았다.
이미지 확대
문제는 재검사 농가 수가 전수조사 대상인 1239개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의 9.8%에 그친다는 점이다. 농관원은 친환경 인증을 받은 683개 농장에 대해서만 재검사 여부를 결정했다. 나머지 556개 일반 농장에 대한 재검사는 검토하지 않았다. 농관원 소관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일반 농장에 대한 조사는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시·도 동물위생시험소 또는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맡는다.

농식품부는 “일반 농장의 검사 과정에 대한 문제 제기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양계업계 관계자는 “중앙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친환경 농장 가운데 17.7%가 재검사를 받을 정도라면 지자체가 담당하는 일반 농장은 그보다 더 부실 검사가 이뤄졌을 개연성이 크다”고 말했다. 지난 16일 살충제 달걀이 검출된 경기 양주 신선2농장의 주인 임모(50)씨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검사원한테 달걀 한 판을 미리 준비해 놓으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이 농장은 지자체가 조사한 일반 농장이다.

지자체마다 검사한 살충제 종류가 제각각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정부는 27종의 살충제를 검사하도록 지시했지만 강원, 인천 등 4곳은 19종만, 대전 등 3곳은 23종만 검사했다. 신종 살충제인 에톡사졸, 플루페녹수론은 아예 검사할 능력이 안 되는 지자체도 상당수로 나타났다.

결국 산란계 농가에 대한 세심한 재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통상 두 달에 거쳐 시행하는 잔류농약 성분 전수조사가 번갯불에 콩 볶듯이 3일 만에 이뤄졌기 때문이다. 금지 살충제인 피프로닐의 경우 살포한 뒤 7~10일이 지나면 닭의 몸에서 절반 이상 배출되기 때문에 재검사할 경우 최대한 빨리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국민 신뢰 회복과 정확한 조사가 최우선이므로 조사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된다면 즉시 재조사하겠다”며 “공무원의 부적절한 시료 수거 행위에 대해서도 감사를 실시해 문책하고 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8-19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