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재무의 오솔길] 이별은 미의 창조

[이재무의 오솔길] 이별은 미의 창조

입력 2017-08-21 20:50
업데이트 2017-08-21 2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봄 한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이 지고 있다//분분한 낙화/결별을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지금은 가야 할 때//무성한 녹음과 그리고/머지않아 열매 맺는/가을을 향하여/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헤어지자/섬세한 손길을 흔들며/하롱하롱 꽃잎이 지는 어느 날//나의 사랑, 나의 결별,/샘터에 물 고이듯 성숙하는/내 영혼의 슬픈 눈”(이형기, 시, ‘낙화’, 전문)
이미지 확대
절기처럼 정직한 것이 있을까. 막바지 기승을 부리던 여름 더위도 한풀 꺾이고 조석으로 선선한 바람이 부는 걸 보면 어느새 가을이 성큼 들어섰음을 실감케 한다. 헌 계절이 가고 새 계절이 찾아오고 있는 중인 것이다. 늘 해마다 이맘때면 버릇처럼 하는 말이지만 올여름은 유난히 길고 무더웠다. 어찌 계절뿐이랴.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그래서 그런지 뒤늦게 찾아온 가을이 여간 반갑지가 않다. 흔히들 가을을 별리의 계절이라고 한다. 물론 이는 계절에 대한 통념으로 사실이나 진리에 부합하지 않는다. 세계나 대상에 대한 의미나 가치는 인식 주체의 내면세계 즉 정서나 경험 등에 의해 굴절되게 마련이어서 사람에 따라서는 가을이라는 대상이 이별이니 조락의 느낌보다는 외려 생동하는 기운과 내용으로 다가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초가을은 시간의 문이다. 헌 절기가 나가고 새 절기가 들어오는 문턱에서 우리는 감상에 젖기도 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기도 한다.

이제 곧 오곡백과는 자신들이 나고 자란 전답을 떠날 것이고 “초록은 지쳐 단풍이 들 것이고” 과일들이 떠난 과원의 유실수들은 갑자기 늙어 갈 것이다. 채운 것들을 비우는 시간 속에서 새롭게 공간이 열릴 것이다. 그렇다. 가을이라는 객관적 실재에 대한 저마다의 느낌과 생각은 저마다의 처지와 입장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일반적 범주에서 보면 확실히 가을은 채움보다는 비움 쪽에 가까운 계절이다. 오고 가는 것, 이것은 우주 안에 편재한 사물들의 운명이다. 한 절기가 가고 한 절기가 온다. 만남의 인연이 끝나고 헤어짐의 인연이 시작된다. 회자정리(會者定離). 이와 같은 우주의 법칙과 질서에서 누군들 자유로울 수 있겠는가. 하지만 떠난 것은 다시 돌아온다. 떠난 것은 사라지거나 소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형태를 바꿔서 돌아온다. 거자필반(去者必反). 그러니 떠난 것에 더이상 미련이나 집착을 가질 필요가 없다. 집착은 인연의 뼈다귀(시간)에 달라붙는 애증의 파리 떼와 같아서 참으로 징그럽고 집요한 데가 있다. 아무리 의식의 손으로 쫓아도 애증의 파리는 시늉뿐 사라지지 않는다. 뼈다귀가 사라져야 파리가 사라진다. 시간만이 지혜의 해결자요, 위대한 스승이다. 시간을 믿고 시간에 순응할 수밖에 없다. 떠난 것은 다시 돌아온다는 회귀의 진리를 의심하지 말아야 한다.

이별은 마냥 두렵고 아픈 일인가. 세속의 관점에서 보면 그렇다. 이별은 때로 사람을 심리적 공황 상태에 이르게 한다. 절실한 인연일수록 더욱 그렇다. 하지만 이별이라는 현 실태 이면의 진실에 주목한다면 이별이 마냥 회피해야 할 대상만은 아니다. 이별이 없고서야 어찌 더 큰 만남이 있을 수 있겠는가. 이형기 시인의 시구처럼 “가야 할 때를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그렇다. 때로 이별은 아름답다. 이별은 더 큰 영혼의 성숙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냇물이 냇가를 고집한다면 강물이 될 수 없고 강물이 끝나야 바다에 이를 수 있다. 헤어져야 더 크게 이를 수 있고 닿을 수 있다. 낙화 뒤에 열매가 생기는 것처럼 헤어져야 더 크게 열리고 만날 수 있는 것이다.

“이별은 미의 창조입니다. (중략) 님이여, 이별이 아니라면 나는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없습니다. 오오 이별이여, 미는 이별의 창조입니다.” (한용운, 시, ‘이별은 미의 창조’, 부분) 만남은 이별 뒤에 오기 때문에 더욱 아름다울 수 있으며, 꽃이 아름다운 것은 고통과 절망을 통과했기 때문이다.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고 있다. 새롭게 만나기 위해 보낼 것은 기꺼이 보내기로 하자. 사물도, 인연도, 시절도!
2017-08-2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