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스마트한 스마트/박성진 스토리허브 대표

[문화마당] 스마트한 스마트/박성진 스토리허브 대표

입력 2017-10-18 17:52
업데이트 2017-10-19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친구’에서 주인공 준석이 ‘친구’라는 단어에 대해 독백하는 장면이 나온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친구’란 단어의 정확한 의미가 준석에게 돌연 낯설게 다가왔던 것이다. 특정한 단어를 반복해 인지하다 보면 일시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잊고 생소한 느낌을 받는 현상이 존재한다. 일본 소설이나 애니메이션은 이를 ‘게슈탈트 붕괴’ 현상이라 부르는 모양이다. 전체적인 의미를 잊고 개별적인 것만 인식하는 현상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는 게슈탈트 붕괴라 부를 만한 단어 하나가 존재한다. 스마트.
박성진 스토리허브 대표
박성진 스토리허브 대표
휴대전화가 스마트해지더니 밴드가 스마트해지고, 시계가 스마트해지고, 건물이 스마트해지고, 결국 도시 자체도 스마트해진다. 그런데 이처럼 자주 쓰이는 ‘스마트’라는 말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문득 생각하니 워낙 자주 사용해서 알고 있다고 싶었던 단어의 의미가 모호하게 흩어진다. 그래서 ‘스마트’의 정의를 되도록 ‘스마트’하게 내려 보고 싶어졌다.

우선 기술의 종류에 대해 잠깐 이야기해 보자. 산업 기술 분류표는 기술을 기계소재, 정보통신, 전기전자, 섬유화학 등으로 나눈다. 하지만 나는 이러한 분류 이전에 쓰이는 형태에 따라 기술을 크게 두 종류로 나누고 싶다. 제1종의 기술과 제2종의 기술이다.

제1종은 시간과 돈, 인력을 투입하면 실현이 가능한 기술들이다. 일반적인 건물 건축은 제1종의 기술이다. 돈과 인력을 투입해 시간을 들이면 건물은 만들어진다. 하지만 건물에 제로 에너지 개념을 도입하고,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시켜 차량의 위치, 건물의 출입, 방범 등의 편의를 제공받고자 하면 어떻게 될까. 건물을 ‘제로 에너지 빌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엄밀한 기획도 필요하다. 이것이 제2종의 기술이다. 시간, 돈, 인력을 투입해도 실현 가능성이 불확실한 기술은 제2종으로 분류한다. 모든 기술은 제2종으로 출발했다가 대중화, 일반화의 과정을 거쳐 제1종의 기술로 변화한다.

기술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즐거움을 주기 위해 정해진 자원을 소모하는 것이 기술이다. 제2종의 기술은 전에는 없던 편의를 만들어 내거나, 똑같은 편의를 얻기 위해 소모하는 자원의 총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제2종의 기술은 ‘혁신 기술’이라고 불러도 좋다. 제2종의 기술이 반영된 빌딩을 우리는 스마트 빌딩이라고 부르고 있다.

스마트 빌딩의 예가 ‘스마트’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있을 단서를 제공했다. 첫 번째, 전에 없었던 편의를 제공할 것. 두 번째, 똑같은 수준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쓰이는 자원의 총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 이 조건을 만족시켜야 스마트하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스마트하지 못하다. 스마트폰이 그렇고, 스마트 빌딩도 마찬가지며, 스마트 시티도 예외가 아니다. 스마트한 모든 것들은 예전보다 적은 에너지, 적은 시간, 적은 노력을 필요로 하면서도 더 큰 즐거움과 편의를 사람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준석은 친구란 ‘오래 사귀어 친한 벗’이라고 결론 내렸다. 스마트란 ‘혁신을 통해 더 적은 소비로 더 큰 편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진짜 스마트는 그 후에 비로소 시작된다. 친구처럼 모든 사람들이 ‘익숙하여 친한’ 스마트야말로 진정으로 스마트한 스마트다.
2017-10-19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