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 ‘아파트 생태계’ 극영화 ‘나비잠’… 부산국제영화제서 동시 초청받은 정재은 감독

““극영화가 정말 좋으면 다큐멘터리 같다, 다큐멘터리가 정말 좋으면 영화 같다’는 말을 많이 하잖아요. 결국에는 하나라는 이야기죠.”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넘나들며 작업하고 있는 정재은 감독은 영상 플랫폼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요즘, 하나의 플랫폼에 얽매이지 않은 현대적인 필름메이커를 꿈꾼다고 말했다.
정재은(48) 감독을 최근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났다. 임순례, 이정향, 변영주 등과 함께 큰 흐름을 이루며 여성 감독 시대의 개막을 알렸던 감독이다. 다큐멘터리 ‘아파트 생태계’와 극영화 ‘나비잠’ 두 편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한꺼번에 초청받았다. 경계와 영역을 분명하게 가르는 것에 익숙한 한국 사회에서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넘나드는 것은 드문 일이다.

“하나의 이야기를 다루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잖아요. 저는 다큐멘터리라고만 하지 않고 꼭 다큐멘터리 영화라고 하는데 극영화는 배우를 중심에 놓고 생각하는 것이고, 다큐는 배우는 아니지만 사회 속에서 자기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캐스팅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다고 봐요.”

물론 같기도 하지만 다른 부분도 있다고 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 전달한다는 것은 일맥상통하지만 극영화에서 제가 의도한 것을 표현하기 위해 집중해야 한다면 다큐 영화에서는 제 의도보다는 현실에서 의도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죠. 영화도 영화지만 다큐가 많이 보여지고 또 왜 다큐를 봐야 하는지 질문하는 사회가 발달된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다큐멘터리 ‘아파트 생태계’
‘아파트 생태계’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지어진 서울의 시범, 주공 아파트를 찾아다니며 아파트의 생성과 성장, 소멸, 그리고 재탄생을 들여다보며 차가운 콘크리트에 따스하게 깃든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려낸다. 정 감독은 ‘말하는 건축가’(2011)부터 ‘말하는 건축 시티:홀’(2013)에 이어 이번 작품까지 줄곧 도시공간과 건축을 주제로 다큐를 찍고 있다. “사람들은 살아가는 공간으로부터 다양하게 영향을 받잖아요. 제가 나고 자란 서울이라는 공간이 매우 빠르게 굉장히 큰 변화를 하고 있는데 변화하는 도시의 모습과 서울의 환경을 기록하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죠.”
극영화 ‘나비잠’
‘나비잠’은 정 감독이 일본에서 찍은 100% 일본어 작품이다. 병에 걸려 기억이 허물어져 가면서도 사랑의 기억을 잃지 않으려 애쓰는 한 여성 소설가의 이야기를 애틋하게 그렸다. ‘러브레터’의 나카야마 미호가 열연해 일찌감치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정 감독의 장편 극영화는 ‘태풍 태양’ 이후 12년 만이라 더 반갑다. ‘나비잠’은 국내 극장가에는 내년 5월 찾아올 예정이다.

“요즘 한국에선 멜로 영화를 볼 기회가 많지 않은데 아름답고 슬픈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는 정 감독은 일본에서 작품 활동을 더 해보고 싶다고 했다. “일본은 우리와 비교할 때 영화적 다양성이 더 많은 사회인 것 같아요. 요즘 한국 영화는 남성 주인공에 의존하고 있잖아요. 아무래도 저는 여자 이야기를 많이 쓰게 되 는데 한국 영화 산업 안에서는 영화로 만들기가 쉽지 않죠. 지금 상황을 한탄하며 남성들이 떼거리로 나오는 작품들을 찍기는 싫었어요.”

현재 정 감독은 대규모 아파트 재건축으로 갈 곳을 잃은 길고양이들에 대한 다큐 작업을 하고 있다고 했다. ‘아파트 생태계’에도 이 고양이들의 이야기가 잠시 등장한다. 몇 년 전에는 ‘고양이를 돌려줘’라는 단편을 찍기도 했다. 극영화 데뷔작이 스무살 여성들의 우정과 고민, 성장을 그렸던 ‘고양이를 부탁해’인 것을 감안하면 고양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다.

“페르소나까지는 아니고요. ‘고양이를 부탁해’를 만들 때만 해도 한국에서 고양이라는 존재 자체가 낯설고 두려움의 대상이었어요. 20년 가까이 지나니 이제는 애완동물 영역으로 성큼 들어온 것 같아요. 그 변화를 크게 느끼고 있죠. 그래서 고양이는 한국 사회의 변화를 보여주는 척도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관심을 더 갖고 있죠.”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여성 감독들의 약진이 더욱 두드러졌다. 한발 앞선 선배로서 감독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없을까. “극영화만 바라보고 있다고 삶과 사회가 바뀌어 영화를 만드는 기회가 오는 것은 아니에요. 영화감독이라는 타이틀이 대단한 게 아니에요. 하나에 얽매이지 않는 현대적인 필름메이커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글 사진 부산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