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용석의 상상 나래] 대학 실무교육이 학생창업 성공 이끈다

[김용석의 상상 나래] 대학 실무교육이 학생창업 성공 이끈다

입력 2017-12-01 17:50
업데이트 2017-12-04 09: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들어 정부는 창의력과 상상력을 겸비한 대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실질적인 창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점점 얼어붙어 가는 경제 상황에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어려워지자 정부 차원에서도 창업에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과거의 사업이 큰 리스크를 짊어지고 시작하는 것이었다면, 현재의 창업은 새로운 아이디어만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제는 ‘스타트업’(신생 벤처)이란 용어가 익숙해졌고, 대학생들의 창업은 정부의 지원책, 적은 비용으로 창업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으로 더욱 확대되는 분위기다. 덕분에 많은 젊은이들이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으며, 일부는 의미 있는 결과도 내고 있다.
김용석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김용석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젊음 그 자체는 좋다.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생각 자체는 장점이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젊을수록 기술, 새로움에 우선순위를 두고 창업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공대 출신이 창업하는 경우는 기술을 가장 중히 여기는 경향이 있다. 우수한 기술의 제품은 최고 사양의 제품을 만들 수 있지만, 그렇다고 시장에서 꼭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업은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지 않으면 존립의 근거 자체가 위태롭다. 창업보다는 기업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따라서 우수한 스타트업은 대기업으로 M&A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대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 핵심 기술에 목마르고 스타트업은 지속적 발전, 유지가 어려우니 가장 이상적인 결합인 셈이다. 하지만 국내 M&A는 활성화돼 있지 않다.

창업의 가장 중요한 점은 최고경영자(CEO)로서의 마음 자세이다. 뚜렷한 목표와 비전이 있어야 하며, 그것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끈기도 있어야 한다. 취직이 안 되고, 직장생활이 힘들기 때문에 창업을 한다는 것은 곧 실패를 예약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학생 창업에서의 어려운 점은 무엇보다 경험의 부족이다. 창업교육 몇 시간 배운 것으로 어림없는 일이다. 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예기치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당연히 어렵다. 따라서 실패를 용인하는 사회적 안전장치가 있어야 한다. 창업 실패가 신용불량자로 이어져서는 도전적인 창업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나는 학생창업을 권유할 생각은 없다. 그렇지만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은 중요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본다. 일부 학생은 실제 창업을 하기도 하고 기업에 입사하더라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은 이론이 아니고 실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디어를 내는 것, 아이디어를 구현해 보는 것, 사업화를 고려해 고객의 입장에서 평가를 받아 보는 것으로 진행돼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대학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교수들이 적극적으로 새로운 실무형 교과목을 더 많이 개발해야 하고 교육방식도 바꾸어야 한다. 프로젝트 중심의 학습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프로젝트 제안 단계부터 대기업이나 중소, 중견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기업 전문가를 프로젝트의 멘토로 위촉하고, 학생과 함께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도록 한다. 기업의 차기 과제를 검증해 보기 위한 것이면 교과목의 결과물이 기업에서는 미래를 위한 탐색과제로 활용할 수 있고, 학생창업은 사업 아이템으로 검토해볼 만하다. 과제에서 발생했던 문제와 해결된 결과물은 기술 자료화한다.

또한 대학마다 많은 학생 동아리가 있는데, 이를 대학 차원에서 강화하는 것이다. 동아리 활동에 학점을 부여해 학교 수업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그러면 대학교수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해진다. 동아리 활동은 기업의 조직 생활을 미리 경험해 보는 것이다. 당연히 창업에도 도움이 된다. 추진력, 책임감, 협동심 등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학생창업은 성공할 확률보다는 실패할 확률이 무척 높다. 창업은 철저하게 현실 속에서 이뤄진다.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창업은 너무도 많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구현해 보고 실수하고 실패해 보는 경험을 학생 시절에 많이 해 보아야 한다. 또한 사업화를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 학생창업을 권유하기보다는 대학의 실무교육 강화가 먼저다.
2017-12-02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