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코스모스’라는 제목의 대중 과학서를 출간한다. 이제 한국에서도 스테디셀러로 자리잡은 ‘코스모스’ 1장은 이렇게 시작한다. “코스모스는 과거에도 있었고 현재에도 있으며 미래에도 있을 그 모든 것이다. 코스모스를 정관(靜觀)하노라면 깊은 울림을 가슴으로 느낄 수 있다. 나는 그때마다 등골이 오싹해지고 목소리가 가늘게 떨리며 아득히 높은 데서 어렴풋한 기억의 심연으로 떨어지는 듯한, 아주 묘한 느낌에 사로잡히고는 한다. 코스모스를 정관한다는 것이 미지 중 미지의 세계와 마주함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울림, 그 느낌, 그 감정이야말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게 되는 당연한 반응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홍승수 옮김)
영화 ‘스테이션7’
‘질서 정연한 우주’라는 뜻을 가진 코스모스에 관한 칼 세이건의 설명을 듣고 있으면, 누구라도 ‘미지 중 미지의 세계’와 마주하는 ‘깊은 울림’을 느끼게 된다. 실제로 그렇다. 세상이 치졸하고, 나의 삶이 비루해도, 그래서 불행에 휩싸여 있다고 해도, 우리의 고민은 우주와 대면하는 순간 아무것도 아닌 게 돼 버린다. 이런 시구가 괜히 쓰인 것이 아니다. “뼈에 저리도록 ‘생활’은 슬퍼도 좋다/ 저문 들길에 서서 푸른 별을 바라보자.”(신석정, ‘들길에 서서’) 푸른 별을 바라보는 데 그치지 않고 거기에 직접 가 보려고 시도한 사람들도 있었다. 엄밀히 말해 이것은 코스모스로 향하는 순수한 의지는 아니었다. 미국과 소련 중 어느 쪽이 우주를 선점할 것인가 하는 체제 경쟁의 산물이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그렇다면 당시 소련은 무슨 프로젝트를 진행했을까. 그들에게 1985년은 제어불능 상태가 된 우주정거장 살류트 7호를 처리하기 위해 무던히도 애썼던 해로 기억될 것이다. ‘스테이션7’은 여기에 투입된 두 명의 우주비행사 블라디미르(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와 빅토르(파벨 데리비앙코)의 실화를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이들에게 주어진 과제는 성공 확률이 극히 낮았다. 영화에서도 언급되지만, 그것은 흡사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주차장에 안전하게 차를 대라’와 같은 불가능한 임무의 연속이었다. 그런데 도저히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그 일을 두 사람은 하나씩 수행해 간다. 논리로는 해명하기 어려운 기적이다. 이를 이해하는 데 칼 세이건이 ‘코스모스’에서 쓴 다음 문장이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인간과 우주는 가장 근본적인 의미에서 연결돼 있다. 인류는 코스모스에서 태어났으며 인류의 장차 운명도 코스모스와 깊게 관련돼 있다.” 코스모스 아래에서 과학과 주술의 거리는 생각보다 멀지 않다. 7일 개봉. 12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