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경의 유레카] 익숙한 신용카드와 낯선 ○○페이 사이에서

[이은경의 유레카] 익숙한 신용카드와 낯선 ○○페이 사이에서

입력 2018-01-15 17:50
업데이트 2018-01-15 18: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사람들은 상점에서 물건을 사거나 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 다음 셋 중 한 가지 방법으로 값을 지불한다. 현금, 신용카드, ○○페이.
이미지 확대
어떤 선택을 하는가는 누가, 어디서, 무엇을 사는가에 따라 다를 것이다. 지금은 체크카드를 포함한 신용카드가 가장 많이 쓰이고 그다음이 현금이다. 현재는 미약하지만 ○○페이 같은 새로운 결제 수단의 이용이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페이 같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온라인 기술 기반의 금융기술, 즉 핀테크의 일종이다. 핀테크는 현금 발행, 관리 비용을 줄이고 금융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며 사용이 편리하다는 여러 요인들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은 결제, 송금이 핀테크의 중심이지만 점점 금융, 투자, 보험, 대출 등에도 적용될 것이다. 가상화폐도 핀테크의 산물이다.

세계의 핀테크 확산을 주도하는 것은 신흥 개발국가들이다. 코트라 뉴스에 따르면 2017년 중국, 인도, 영국, 브라질, 호주가 높은 비율로 핀테크를 도입했다. 같은 해 가장 높은 핀테크 성장률을 보인 곳은 멕시코, 중국, 브라질, 인도, 남아메리카인데 핀테크 수용률 평균은 46%에 가깝다. 오래된 산업 선진국보다는 인구가 많은 신흥개발국가가 주를 이룬다.

어떤 나라에서 핀테크의 확산이 빠르게 일어날까. 분석가들은 중국, 인도, 브라질 같은 국가의 경우 경제 성장에 따른 중산층 증가, 생활 전반에 디지털 기술의 빠른 확산이 이루어진 반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최근 중국에 다녀온 사람들 말을 들으면 허름한 식당이나 노점상에서도 위챗페이나 알리페이로만 결제할 수 있을 뿐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아예 받지 않는 상점도 흔하다고 한다.

중국과 인도의 상인들이 특별히 혁신적이기 때문은 아니다.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현금 사회의 한계가 드러났을 때 이 나라 정부와 기업은 신용카드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핀테크에 기반한 해결책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신용카드에서 모바일 결제로 갈아타는 것이 아니라 생애 첫 비현금 결제를 핀테크로 하게 됐다. 오히려 수십년 동안 신용카드를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결제에 익숙한 사람들이나 서비스 네트워크가 없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도, 넘어야 할 장애물도 없었던 것이다.

역사를 보면 신기술 도입이나 산업 혁신에서 기존의 성공 경험이 오히려 한계로 작용할 때가 있다. 19세기 말 대학의 성장과 연구 개발 투자가 일어나고, 새로운 철강 제조 기술, 근대 화학 기술 등 신기술이 개발됐다. 이에 기반해 자동차, 전기 등 새로운 산업들이 발전했다. 독일과 미국이 제2차 산업혁명을 주도했고 산업혁명의 종주국인 영국은 이 흐름에서 뒤처졌다. 당시 영국에는 이미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제1차 산업혁명의 기술과 성과에 기반한 기술, 사회, 산업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었다. 산업국가로서 영국의 지위가 낮아지고 있었지만 위험을 무릅써야 하는 신산업에 산업가와 자본가들이 도전할 필요는 절실하지 않았다. 소비자들 역시 익숙했던 것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기술과 제품이 나타났을 때 더 편리하고 좋은 줄 알면서도 이를 선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경영학자들은 이를 ‘현상유지 편향’이라 부른다. 현상유지 편향을 혁신 거부와 동일하게 보면 곤란하다. 현금 외 결제 수단이라고는 모바일 페이밖에 없는 사회의 소비자들과 카드 한 장으로 밥 먹고, 영화 보고, 버스 타고, 생수 한 병까지도 살 수 있는 사회의 소비자들 앞에 놓인 핀테크 선택 여부를 신기술에 열린 마인드를 가졌는가의 잣대로 잴 수 없기 때문이다.

핀테크 산업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다. 정부가 이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키우려고 한다면 세계 10위권의 경제를 운영해 온 한국의 금융기관, 관련 법제도, 투자자와 소비자의 현상유지 편향을 극복할 방안을 먼저 고민해야 한다.
2018-01-16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