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왜 우리만 홀로 남게 되었을까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왜 우리만 홀로 남게 되었을까

입력 2018-03-02 17:56
업데이트 2018-03-02 1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오늘날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은 같은 종이다. 같은 종은 정상적으로 2세를 생산할 수 있고 생식적으로 격리된 동일 집단을 말한다. 평창동계올림픽 선수 입장식에 등장한 세계 각국의 선수들은 비록 피부색도 다르고 생김새도 다르지만 2세 생산이 가능한 호모 사피엔스 단일종이다. 지극히 당연한 것 같지만 사실 우리 호모 사피엔스가 단일종으로 지구 위에 사는 유일한 인류가 된 것은 불과(?) 얼마 전이다.

수백만 년 전 동아프리카 일대에는 적어도 5~6종의 고인류들이 모여 살았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파란트로푸스 한 번쯤은 들어 본 기억이 있으실 것이다. 가장 환경에 잘 적응한 집단이 살아남아 호모속이 됐다. 호모하빌리스, 호모에렉투스 그리고 지금은 홀로 남은 호모사피엔스가 바로 나와 같은 사람, 우리다.

다윈의 진화론에서 적자생존의 개념은 오해하기 쉽다. 뒤에 나타나는 강한 고인류 집단이 약한 집단을 밟고 일어서는 것이 진화가 아니라 변화하는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해 살아남은 집단이 적자가 돼 인류 진화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다.

사람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굳게 믿고 있던 시대, 1856년 독일의 네안더 계곡에서 희한하게 생긴 두개골이 발견됐다. 눈두덩이가 튀어나오고 기골이 장대한, 우리와는 다르게 생긴 고인류의 출현은 여러 상상과 희망이 뒤섞여 야만적인 고인류 네안데르탈인으로 불렸다. 미개한 네안데르탈인들은 우리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하면서 서서히 그 힘을 잃어 멸종해 갔고, 동굴벽화나 비너스상과 같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예술품들은 열등한 존재 네안데르탈인과는 완전히 차별화된 호모사피엔스만이 가진 우아한 문화라는 것이 지금까지의 정설이었다. 그런데 얼마 전 스페인의 동굴벽화가 약 6만년 전의 네안데르탈인이 남겨 놓은 것이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정교한 석기를 만들 줄 알았고 죽은 사람을 잘 매장해 주었던 네안데르탈인은 야만적이지도 않거니와 호모사피엔스와 비교해 지능이 현저히 떨어지지도 않아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네안데르탈인은 호모사피엔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예술의 기원과도 관련이 있는 것 같다. 더구나 유전자 분석 결과 약 2~6%의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우리 호모사피엔스에게 남아 있다고 하니 유일무이한 지구의 정복자 고고한 사피엔스 신화에 결정적 흠이 가는 대목이다.

이런 상상도 재밌다. 네안데르탈인이 지금도 살아남아 있다면 아마도 올림픽에서 힘쓰는 경기의 금메달은 이 사람들이 다 따지 않았을까? 네안데르탈인의 근력이 호모사피엔스보다 훨씬 강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컬링은 호모사피엔스들의 자존심을 건 종목이 되지 않았을까? 전 지구의 호모사피엔스들이 네안데르탈팀과 맞붙은 결승에서 우리 팀킴을 응원하며 “영미~ 영미~”를 목 터지게 외쳤을지도 모르겠다.

지구의 정복자라는 오만과 독선, 자만심을 가진 오늘날 우리 호모사피엔스에게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앞으로 오랜 세월이 흘러 우리 유전자의 2~6%를 공유하는 새 인류가 지금의 우리와는 다른 겸손한 자세로 자연과 공존하며 평화로운 지구촌을 만들어 오순도순 살아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때 그들에게 오늘의 우리, 호모사피엔스는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서로 증오하고 환경을 파괴해 지구별을 거의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간 흉악한 고인류로 기억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2018-03-03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