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은 대표 직함 국무위원장? 노동당위원장?

김정은 대표 직함 국무위원장? 노동당위원장?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3-12 22:38
업데이트 2018-03-12 2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관명 빼고 위원장 통칭했던 靑
김여정 만난 후 국무위원장으로
총서기·주석 겸한 시진핑처럼
당내선 최고 수장 노동당위원장
대외 관계선 정부 대표 직함 써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연합뉴스
남북 대화가 본격화하면서 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부르는 호칭이 달라졌다. 그동안 청와대는 북한의 기관명을 생략하고 ‘김정은 위원장’으로 통칭해 오다 지난달 10일 김여정 북한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김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뒤부터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 바꿔 부르기 시작했다.

당시 김 제1부부장은 문 대통령에게 “국무위원장의 특명을 받고 왔습니다”라고 말했다. 그가 문 대통령에게 건넨 파란색 서류철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이란 문구가 금장으로 새겨져 있었다. 대외적 외교 업무를 하는 자리인 만큼 노동당 위원장 대신 국가기구인 국무위원장 직함을 쓴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북한이 국무위원장 자격으로 남북 정상회담을 요청하고 초청서를 보냈기 때문에 정부도 자연스럽게 국무위원장으로 부르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무위원장은 김 위원장이 정부를 대표할 때 쓰는 직함이고, 노동당 위원장은 당 조직의 최고 수장을 의미한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총서기와 국가주석을 겸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사회주의 국가는 당과 국가가 같이 가야 하니 두 직책을 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김 위원장은 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인민군 최고사령관 등으로도 불린다. 당(黨)·정(政)·군(軍)을 장악해 1인 절대권력 체제를 구축하고자 각 부문의 최고 자리를 김 위원장이 모두 꿰찬 것이다.

북한은 이 많은 직함 가운데 ‘노동당 위원장’을 으뜸으로 친다. 당이 국가기구와 군 등 사회 전반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사회주의 국가 특성상 북한에서는 노동당이 사실상 최상위 기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 매체가 김 위원장을 언급할 때는 ‘당-국가기구-군’ 직함 순으로 호명한다. ‘우리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영도자 김정은 동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식으로 ‘조선노동당 위원장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이시며,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신 경애하는 최고영도자 김정은 동지’라는 긴 수식어를 붙일 때도 있다. ‘경애하는 최고지도자 김정은 동지’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북한과 체제가 다른 나라와 외교할 때 이런 호칭을 쓸 순 없다. 정상외교는 당과 국가의 외교가 아니라 국가 대 국가의 만남이기 때문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당시 ‘노동당 총비서’라는 직함을 사용하지 않고 ‘국방위원장’이란 국가 직책을 사용했다.

그렇다면 그의 아버지 김정일이 쓴 ‘국방위원장’과 김정은의 ‘국무위원장’은 어떻게 다를까. 둘 다 국가기구 수장을 의미하는 직함이다. 다만 형태가 다르다.

김 위원장은 2016년 6월 최고인민회의를 열어 아버지 때 ‘최고 국방지도기관’이었던 국방위원회를 폐지했다. 김정일 시대의 핵심 가치였던 군 중심의 ‘선군(先軍)정치’ 체제를 탈피한 이상 군 간부가 포진한 국방위를 둘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대신 당과 내각, 군의 핵심 간부들을 요직에 앉혀 국무위원회를 신설하고 ‘국가 주권의 최고 정책적 지도기관’으로 성격을 재규정했다. 또 국무위원장의 위상을 헌법에 ‘최고영도자’로 명시했다. 이렇게 김 위원장은 당, 국가기구, 군을 총괄하는 1인자가 됐다.

정영태 동양대 통일연구소장은 “국무위원회가 신설되면서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역할도 국무위로 많이 넘어왔다”면서 “국무위원장은 주석과 같은 위치로 북한을 대표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3-13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