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기쁨은 한 몸, 그게 인생이더라

“인생의 수많은 기쁨은 고통과 함께 오기도 한단다.”

이제는 세상에 없는 엄마 지니(킴벌리 크랜달)가 아들 웨스(조시 위긴스)에게 남긴 이런 조언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싶다.
영화 ‘해피 어게인’
이것은 두 개의 명제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하나, ‘기쁨과 고통은 별개다. 다만 때때로 동행한다.’ 이에 따르면 우리는 고통 없는 기쁨을 만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운 나쁘게 기쁨에 고통이 따라오기도 한다. 그럴 때는 빨리 고통이 지나가라고 기원하는 수밖에 없다.

다른 하나, ‘기쁨과 고통은 실상 한 몸이다. 항상 둘은 붙어 다닌다.’ 이에 따르면 고통 없는 기쁨이란 애초에 성립 불가능하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기쁨과 고통을 새롭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해피 어게인’은 아무래도 뒤쪽의 명제를 따르는 영화 같다. 웨스가 크로스컨트리에 몰두하는 장면이 그것을 예증한다. 전학 간 학교에서 운동부에 가입해야 했을 때, (선택지가 별로 없기는 했지만) 그는 험한 코스를 통과하는 “가혹한 장거리 경주” 크로스컨트리를 고른다. 그러면서 웨스는 고통이 꼭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배운다. 크로스컨트리는 고통과 싸워서 기쁨을 쟁취한다기보다 고통을 끌어안음으로써 기쁨을 성취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이다. 고통 없이는 러너스하이(Runner’s High·오래 달릴 때 느끼는 쾌감)도 없다. 문제는 그러기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이다.

“고통을 즐겨라”는 실천하기 어려운 지침이다. 게다가 이 말은 불합리한 구조적 폭력을 정당화할 때 자주 쓰는 ‘갑’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우리는 더 세밀하게 고통의 기쁨, 혹은 기쁨의 고통을 따지지 않으면 안 된다.

가령 이를 필연적인 인생의 본질로 생각해 보면 어떨까. ‘태어났으므로 죽는다.’ ‘만났으므로 헤어진다.’ 이와 같은 상실은 사람이 어찌할 수 없는 자연의 섭리다. 그러나 여기에는 ‘끝났으므로 시작한다’는 생성의 과정도 포함된다. 어떤 대상이 사라졌음을 슬퍼하는 애도는 좋았던 옛날에 머물기 위함이 아니라, 오늘을 좋은 날로 바꿔 가기 위해 수행하는 의식이다.

웨스의 아빠 빌(J. K. 시몬스)은 아내의 죽음 이후 아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했고,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내팽개쳤다. 모든 것을 바쳤던 사랑의 기쁨은 목적을 잃자 이별의 고통으로 변했다. ‘기쁨과 고통은 실상 한 몸’이라는 명제가 실감 나는 순간이다. 그럼 빌이 마음을 다잡으려면 어떡해야 하나. 괴로운 일을 해야만 한다. 지니를 완전히 떠나보내야 하는 것이다. 커트 보엘커 감독은 웨스가 크로스컨트리를 하는 모습과 빌이 아내의 유품을 정리하는 모습을 교차 편집했다. 고통스러운 가운데 기쁨이, 기뻐하는 가운데 고통이 생겨나는 모순적인 인생의 법칙은 그렇게 거기 담긴다. 엎치락뒤치락하는 행불행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