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올림픽을 빛낸 환대문화/한경아 한국방문위원회 사무국장

[In&Out] 올림픽을 빛낸 환대문화/한경아 한국방문위원회 사무국장

입력 2018-03-29 17:26
업데이트 2018-03-29 17: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경아 한국방문위원회 사무국장
한경아 한국방문위원회 사무국장
평화, 문화, 정보기술(IT) 올림픽을 실현해 보이며 전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이 막을 내렸다. 이번 올림픽을 통해 한국은 겨울 스포츠강국으로 각인되었으며 여자 컬링 국가대표팀은 ‘갈릭 걸스’라는 별명으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평창동계올림픽은 그야말로 우리 국민과 전 세계인을 행복하게 한 축제 중의 축제였다. 열정으로 가득했던 대회가 끝난 지금은 차분하게 마음을 가다듬고 올림픽 이후를 이야기할 때다.

이번 올림픽 기간 한국을 방문한 선수, 외신기자들을 비롯해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은 하나같이 한국인의 친절과 따뜻한 마음이 평창 올림픽의 성공을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올림픽 기간 중 외국인이 겪은 한국인의 친절 에피소드는 넘쳐났다. 네덜란드 국가대표 선수인 아들을 응원하기 위해 평창을 찾은 바트 부부는 “한국인은 매우 친절한 데다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평창에서 올림픽 경기를 관람하고, 코리아그랜드세일 이벤트센터를 찾은 독일인 파트리크는 “한국에서 체류하는 동안 어디서든 환영받는 느낌을 받았다”며 다시 한국을 방문할 계획임을 밝혔다.

강원도가 올림픽 기간 평창과 강릉을 방문한 외국인 30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93%의 외국인이 서비스가 친절하다고 답했다. 또 올림픽이 열린 지난 2월 한 달간 한국방문위원회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환대센터를 운영하며 외국인 32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한국 재방문 의향은 94%에 이르렀다. 많은 외국인들이 재방문 요인으로 쇼핑에 이어 한국인의 친절을 손꼽을 정도로 한국은 따뜻한 나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게 아니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국민과 정부, 지자체 그리고 관광업계가 한마음으로 오랜 기간 손님맞이 준비에 정성을 기울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16~2018 한국방문의 해’를 계기로 ‘친절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지자체는 물론 민간기업, 관련 협회 등 47개 기관이 함께 K스마일 캠페인 협력단을 구성해 전국 곳곳에서 환대캠페인을 펼쳤다. 청소년, 대학생, 관광업계 종사자로 구성된 미소국가대표들은 앞장서서 환대를 실천하며 국민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했다.

지난 수년간 방한 외래객의 한국관광 만족도와 한국인의 친절도는 점차 개선되어 왔으나, 바가지요금 등과 관련된 문제는 아직도 관광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대캠페인은 단지 미소와 친절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들의 불편, 불만 요인을 해소해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는 단계로 발전해 가야 한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수준으로 고도화돼야 진정한 환대문화가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친절은 최고의 관광상품이다. 이웃나라 일본은 2020 도쿄하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일본 고유의 환대 문화인 ‘오모테나시’를 전면에 내세웠고, 관광대국인 태국은 ‘미소의 나라’로 자리매김하며 전 세계인을 불러들이고 있다. 예부터 우리 민족은 버선발로 뛰어나갈 정도로 손님을 맞는 정성이 남달랐다.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한국의 ‘정’(情) 문화는 외국인들을 감동시킨다. 평창올림픽을 통해 알려진 우리의 친절 DNA, 환대문화는 지금 평창과 강원, 더 나아가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데 큰 보탬이 되었다. 관광은 올림픽 이후가 중요하다. 올림픽 유산으로 자리잡은 친절, 환대를 자양분 삼아 한국관광이 더 크게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18-03-30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