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백승종의 역사 산책] 뒤집힌 상과 벌

[백승종의 역사 산책] 뒤집힌 상과 벌

입력 2018-04-08 17:24
업데이트 2018-04-09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시대에는 출신에 따라 사람을 차별하는 나쁜 관습이 있었다. 문과에 합격해서 벼슬길에 나아가더라도 길이 셋으로 나뉘었다. 가문이 화려한 ‘청족’(淸族)은 승문원으로 들어갔다. 서북 곧 평안도와 함경도 사람들은 성균관에 배치되고 중인과 서자들은 교서원(校書院)으로 갔다(정약용, ‘경세유표’, 제2권).
이미지 확대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지역 차별에 분노한 평안도 사람들이 결국 난리를 일으켰다. 홍경래의 난이었다(1811~12년). 마침 흉년이 크게 들어 민심이 흉흉했기 때문에 반란의 불길이 더욱 거셌다.

그때 문영기(文榮基)라는 이가 있었다. 선천 고을의 장교였다. 홍경래 등이 쳐들어오자 그는 항복하지 않고 자결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그의 행적을 비판하는 문서가 등장해, 그는 결국 역적으로 단죄되었다. 보고서 한 장으로 상과 벌이 뒤바뀌었다.

이 사건의 발단은 평안관찰사 이만수의 장계 곧 보고서였다. “선천은 성이 함락되어 고을 사람들이 모두 도적을 추종했습니다. 관리들은 모두 도망하거나 항복하였습니다. 그러나 문영기는 그곳의 장교로서 도적들이 준 벼슬을 거부하고 용감하게 자결하였습니다. 청천강 북쪽의 여러 고을에도 이제 의사(義士) 한 명이 나온 것입니다.” 대신들은 선조에게 보고했다. ‘승정원일기’의 순조 12년 1월 12일 조에 실린 내용이다.

닷새 뒤, 조정에서는 문영기에게 충신 정려를 내리기로 결정했다. 그에게는 특별히 평안도 선천방어사라는 높은 벼슬도 추증하였다. 이틀 뒤에는 그 아들에게도 벼슬을 주어 등용하기로 했다. 또, 닷새가 지나자 문영기의 벼슬을 더욱 높여 평안절도사로 증직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누구나 ‘승정원일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태는 곧 반전되었다. 정만석이 새로 관찰사가 되어 평양으로 내려갔다. 그러자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내용의 보고서가 서울로 올라왔다. “문영기는 적들이 주는 임명장을 받았으며, 실은 병으로 죽었습니다. 그는 (적들의 뜻에 따라) 감관(監官)과 중군(中軍)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고, 심지어는 관가의 곡식을 멋대로 꺼내어 도둑의 무리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이를 그 고을의 아전과 백성들 및 그의 동생과 아내까지도 증언하였습니다.” 조정은 아연실색하였다.

전임 관찰사 이만수의 보고서는 완전히 잘못된 것이요, 이제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났으니 문영기 본인을 처벌함은 물론 그 처자까지도 연좌시켜야 한다는 논의가 일어났다.

전임 관찰사는, ‘적들이 주는 임명장을 받지 않고 자결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후임자는 ‘임명장을 받았고, 병으로 죽었다’고 말하였다. 문영기는 하루아침에 충신이 되었다가 역적이 되었다. 벌을 받아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 상을 받았다는 주장이었다. 19세기 선비 윤기는 이 사건을 두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이는 사방에 웃음거리가 되는 데 그치지 않았다. 조정이 착한 일을 힘써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하는 도리를 어찌할 것인가. 이러고서야 후세가 무슨 말인들 믿을 수 있겠는가.”(윤기, ‘무명자집’, 제11책)

예부터 세상의 권력자들은 사적인 이익과 친분을 이유로 공정성을 포기할 때가 많았다. 아무 공도 없는 사람이 큰 상을 받아 벼락출세를 하는 일이 있다. 뒤를 봐 주는 사람이 없으면 엉뚱하게 큰 벌을 받기도 한다.

문영기 사건의 전개과정을 꼼꼼히 살핀 윤기의 결론은 이러했다. “말세에는 시비도 흐리고 공정한 상벌도 없다. 성인이 다시 태어나도 어쩔 수 없을 것이다.”
2018-04-09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