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풍사고 생존자가 말하는 세월호를 잊으면 안 되는 이유

삼풍사고 생존자가 말하는 세월호를 잊으면 안 되는 이유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8-04-18 16:29
업데이트 2018-04-18 16: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생존자가 세월호 추모를 비꼬는 극우세력에 일침을 가했다. 사고 원인 조사와 책임자 처벌 등이 신속하고 철저하게 이뤄졌던 삼풍 사고와 달리 세월호 참사는 아무것도 밝혀진 것이 없고 정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에 매년 기억하고 추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잊지 않겠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6일 전남 진도군 진도읍 진도체육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4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학생들 너머로 희생자를 기리는 펼침막이 걸려 있다. 2018.4.16 연합뉴스
18일 오후 딴지일보 자유게시판에는 ‘산만언니’라는 아이디를 쓰는 네티즌의 글이 올라왔다. ‘세월호가 지겹다는 당신에게 삼풍 생존자가 말 할게요’라는 제목이다.

산만언니는 며칠 전 페이스북에서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대구 지하철 참사도 매년 15일에 한번씩 이런식으로 생각들 해주자 쫌”이라는 글을 봤다고 했다. 극우 성향의 게시물을 주로 올리는 한 네티즌이 쓴 글이다.
산만언니는 “이 글을 보고 화가 나서 잠을 이루지 못했다. 한참을 울었다”면서 “내가 삼풍사고 생존자니까 삼풍사고와 세월호는 어떻게 다른지, 어째서 세월호는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지 내가 직접 말해줘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삼풍사고는 지난 1995년 6월 29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의 삼풍백화점이 부실공사로 인해 무너져 502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되고 937명이 다친 끔찍한 참사였다.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2분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풍백화점이 부실공사 등의 원인으로 갑자기 붕괴되어 사망 501명, 실종 6명, 부상 937명이 발생한 사고. 한국전쟁 이후 가장 큰 인적 피해였다. 재산 피해액은 2700여 억으로 추정되었다. 이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삼풍그룹 회장 이준 등 백화점 관계자와 공무원 등 25명이 기소되었다. 이 사고를 계기로 건물들에 대한 안전 평가가 실시되었고, 긴급구조구난체계의 문제점이 노출되어 119중앙구조대가 서울·부산·광주에 설치되었다. 서울신문 DB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2분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풍백화점이 부실공사 등의 원인으로 갑자기 붕괴되어 사망 501명, 실종 6명, 부상 937명이 발생한 사고. 한국전쟁 이후 가장 큰 인적 피해였다. 재산 피해액은 2700여 억으로 추정되었다. 이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삼풍그룹 회장 이준 등 백화점 관계자와 공무원 등 25명이 기소되었다. 이 사고를 계기로 건물들에 대한 안전 평가가 실시되었고, 긴급구조구난체계의 문제점이 노출되어 119중앙구조대가 서울·부산·광주에 설치되었다.
서울신문 DB
산만언니는 삼풍사고의 진상규명은 신속하고 확실했다고 짚었다. 그는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참담하고 비통한 얼굴로 머리를 조아렸으며 피해대책본부가 빠르게 구성돼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피해보상을 약속했다”고 기억했다.

그는 “조순 당시 서울시장이 자신이 입원한 역삼동 작은 개인병원까지 찾아와 위로했고 매일 아침저녁으로 뉴스에서 사고 책임자들이 줄줄이 포승줄에 묶여 구치소로 수감되는 장면이 보도됐다”고 적었다.
김영삼(왼쪽) 당시 대통령이 1995년 7월 1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구조작업현장을 방문 현장지휘중이던 조순 서울시장에게 사고수습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김영삼(왼쪽) 당시 대통령이 1995년 7월 1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구조작업현장을 방문 현장지휘중이던 조순 서울시장에게 사고수습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언론들도 사고 원인 분석과 재발방지 대책을 심층 보도했고 사고 관련 보상금도 정부 약속대로 사고 후 일년 쯤 뒤 입금됐다는 게 산만언니의 기억이다.

그는 “내가 겪은 일에 대해 완벽하게 납득할 수 없었지만 어느 정도 이해는 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나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뒤 벌어진 세월호에 대한 정부 대응은 사뭇 달랐다고 산만언니는 지적했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로 구속된 이준(왼쪽) 삼풍그룹 회장과 이학수 한 건축연구소장이 국회 삼풍특위에 나와 증언하며 흐느끼고 있다. 1995.7.31  서울신문 DB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로 구속된 이준(왼쪽) 삼풍그룹 회장과 이학수 한 건축연구소장이 국회 삼풍특위에 나와 증언하며 흐느끼고 있다. 1995.7.31
서울신문 DB
그는 “세월호 관련해서는 진상조사는 고사하고 정부와 언론이 조직적으로 사건을 은폐, 조작, 축소시키고 있다는 느낌까지 주었다”면서 “제대로 된 관련자 처벌은 이뤄지지 않았고 사고가 난 뒤 한참 뒤 유병언의 유골이라며 이제 그만하자는 투로 나왔다”고 꼬집었다.

어버이연합 등 일부 보수단체가 세월호 유족을 향해 ‘아이들의 죽음을 빌미로 자식장사를 한다’고 한 것에 대해 산만언니는 “이런 종류의 불행과 맞바꿀만한 보상금이 세상에 존재한다고 믿지 않는다”면서 “나 역시 당시 거액의 보상금을 받았지만 그 돈이 이후 삶에 크게 도움됐다고 말할 수 없다. 보상금의 열배를 주고라도 그 일을 피할 수만 있다면 열번이고 천번이고 기꺼이 그렇게 할 것”이라고 적었다.
세월호 선체의 모습. 연합뉴스
세월호 선체의 모습.
연합뉴스
산만언니는 “삼풍 때 정부로부터 제대도 된 사과를 받았지만 여전히 그 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면서 “그래서 말한다. 세월호는 기억되어야 한다고, 진실은커녕 제대로 된 사과조차 받지 못했으니 절대로 절대로 잊으면 안 된다고. 영원히 잊지 말자고”라고 강조했다.

산만언니는 “어느 한 날 허망하게 아이를 잃은 부모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하는 게 뭐가 잘못된 건지에 대해 따져 묻고 싶다”면서 “타인의 고통에 공감할 수 없거든 차라리 침묵하자. 그것이 인간이 인간으로서 인간에게 보여줄 수 잇는 최소한의 도리이자 예의”라고 글을 맺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