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伊 연정협상 타결… 서유럽 첫 ‘극우 포퓰리즘’ 정권 초읽기

伊 연정협상 타결… 서유럽 첫 ‘극우 포퓰리즘’ 정권 초읽기

심현희 기자
입력 2018-05-14 23:08
업데이트 2018-05-15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체제 오성운동·극우정당 동맹…다섯 차례 협의 끝에 연대 합의

지난 3월 총선 이후 사실상 무정부 상태였던 이탈리아에서 두 포퓰리즘 정당인 오성운동과 동맹이 연정 협상을 타결했다고 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이 보도했다. 최종 결정권자인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이 연정 협상안을 승인하면 이탈리아에서 서유럽 최초로 ‘극우 포퓰리즘’ 정권이 탄생하게 된다.
루이지 디마이오. AFP 연합뉴스
루이지 디마이오.
AFP 연합뉴스
마테오 살비니. AFP 연합뉴스
마테오 살비니.
AFP 연합뉴스
반체제 정당 오성운동의 루이지 디마이오(31) 대표와 반난민·반유럽연합(EU) 성향의 극우정당 동맹의 마테오 살비니(45) 대표는 북부 밀라노에서 만나 나흘에 걸친 마라톤 협상 끝에 연정을 마무리 지었다. 이날은 양당이 연정 구성을 위한 협상에 필요하다고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에게 요청한 시한의 마지막 날이었다.

지난 총선에서 이탈리아 의회는 크게 세 세력으로 쪼개지며 과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없는 의회(헝 의회)로 출발했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주축이 된 전진이탈리아(FI), 동맹 등 우파 정당 4곳이 손을 잡은 우파연합은 37%의 득표율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이 중 동맹이 18%를 얻었고, FI는 14%에 그쳤다. 오성운동은 남부에서 몰표를 받아 32%를 득표했다.

그동안 동맹과 오성운동은 다섯 차례나 연립정부 구성 협의를 벌였지만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오는 7월에 재선거를 치르는 방안이 유력하게 제기됐다. 오성운동은 ‘부패의 상징’인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와는 함께 정부를 꾸릴 수 없다면서 살비니 대표에게 FI를 이끄는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와 결별할 것을 요구했으나 살비니 대표가 이를 거부해 연대가 성사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9일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오성운동과 동맹의 결합을 반대하지 않겠다며 연정에서 한발 물러나면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됐다. 두 정당은 세금 인하, 복지 확대, 불법 난민 저지, 대(對)러시아 제재 반대 등의 핵심 국정 과제에서 합의를 본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서로 자신이 총리가 되는 게 당연하다고 주장해 왔던 양측은 제3의 독립적인 후보를 총리로 선택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 후보의 신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오성운동의 기본소득 도입, 동맹의 15% 단일 세율 적용은 재정 부담을 줄이는 차원에서 원안 대신 절충안이 채택됐다.

디마이오 대표는 이날 기자들에게 “우리는 역사를 쓰고 있고, 약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 분위기가 매우 좋다”며 협상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두 대표는 14일 로마의 대통령궁을 방문해 마타렐라 대통령을 만나 승인을 요청할 예정이다.

그러나 마타렐라 대통령은 노골적인 포퓰리즘 정책과 이에 따른 후유증 등을 우려하고 있어 연정 협상안을 그대로 수락할지는 미지수다. 마타렐라 대통령은 평소 자신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과묵한 성격이지만 포퓰리즘 정권 탄생 임박에 유럽연합(EU) 동맹국과 시장이 동요하자, 최근 “건전한 국가 재정을 운용하는 것과 이탈리아의 전통적 방향인 유럽 친화적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례적으로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역내 경제 규모 3위이자 전통적으로 친유럽 성향인 이탈리아에 포퓰리즘 정권이 들어서면 EU의 난민 정책, 재정 정책 등에 엇박자를 내며 EU의 원심력이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또 포퓰리즘 정권이 재정 지출을 늘리면 국내총생산(GDP)의 130%가 넘는 국가 부채를 짊어지게 돼 유럽에서 그리스 다음으로 나쁜 이탈리아의 재정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8-05-15 1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