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김환기 시대’의 명암/손원천 문화부장

[데스크 시각] ‘김환기 시대’의 명암/손원천 문화부장

입력 2018-05-28 20:54
업데이트 2018-05-28 2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한국 추상미술계의 선구자로 꼽히는 김환기(1913~1974) 화백의 추상화가 지난 27일 홍콩에서 열린 경매에서 85억 2000만원에 낙찰됐다. 한국 미술품 경매사상 최고가다. 이번에 낙찰된 작품은 김 화백의 작품성이 절정에 이르렀다고 평가받는 1970년대 초 뉴욕 시절의 대작이다.

붉은색 물감(rose madder)으로 엿새 만에 완성했다는 점화(點畵)의 제목은 ‘3-Ⅱ-72 #220’. 기존 작품이 대부분 푸른색을 쓴 것에 견줘 붉은색을 사용해 희소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4월 새로 작성됐던 직전 최고가 역시 그가 그린 청색 점화 ‘Tranquility(고요) 5-IV-73 #310’(65억 5000만원)였다. 13개월 만에 한국 기록과 개인 기록을 함께 갈아 치운 셈이다. 그의 작품은 지난 3년 동안 여섯 차례나 한국 기록을 새로 썼다. 현재 국내 미술품 경매가 1위부터 6위까지가 모두 그의 작품이다. 10위까지 범위를 넓히면 숫자는 더 늘어난다.

미술계는 온통 잔치 분위기다. ‘김환기의 라이벌은 김환기’, ‘붉은 김환기가 푸른 김환기를 넘었다’는 등 말잔치가 무성하다. 그야말로 ‘김환기의 시대’라 부를 만하다. 단색화를 중심으로 한국 화가들에 대한 국제 미술시장의 재평가가 이어질 것이란 핑크빛 기대도 풍성하다.

그러나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기 마련이다. 미술계의 명암은 갈수록 골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젊은 작가들은 줄어드는 전시 기회에 위축돼 붓을 꺾는 일이 예사다. 단색 화가의 작품 값이 급상승하면서 미술판 전체 규모를 키우는 동력으로 작용하고는 있지만, 그 온기가 젊은 작가들에게까지 퍼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시장이 저명 화랑 중심으로 편재되면서 전시 기회가 일부에게 독점되는 경향도 문제로 꼽힌다. 시장의 인심은 늘 잘 팔리는 사람에게만 줄을 서기 마련이다. 그렇다 보니 시장의 획일성이 강화되고, 신진 작가들은 갈수록 설자리를 잃고 있다. 제법 명성을 날린다는 작가들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뒷심이 떨어지며 단명하고 있다는 아우성이 여기저기서 들리고 있다.

미술계 안팎의 상황을 알기 쉽게 요약하면 이렇다. ‘김환기 시대’로 한국 미술의 격은 높아졌지만, 구조적 환경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이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지난 2008년 금융 위기로 미술시장이 침체기에 빠진 이후 10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 미술시장이 단색화를 앞세워 다시 세계 무대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건 불과 3~4년 전이다. 일부 인기 작가들에 국제적 관심이 쏠린 탓에 외려 대다수의 한국 작품이 상대적으로 더 소외됐다는 분석도 있다.

미술계에선 일부 유명 작가들에게만 의존하는 쏠림현상과 양극화를 막기 위해 정부의 지원 대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예컨대 국공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젊은 작가 기획전을 늘리고, 아트 페어 등 미술시장에서 신진 작가를 발탁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 달라는 것이다.

중국이 좋은 예다. 중국은 1980년대 이후 출생한 ‘바링허우’ 세대 작가를 중심으로 미술시장을 성공적으로 재편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리처럼 더이상 거장들의 작품에만 목을 매고 있지 않다는 얘기다.

기업들의 미술품 구매를 장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기업의 미술품 구입을 메세나 활동의 일환으로 간주해 장려하고, 작품을 공공기관에 기부할 경우 세제 혜택을 주자는 것이다. 물론 이 대목은 논쟁의 소지가 다분하다. 그렇다 해도 한 번쯤 논의해 볼 필요는 있지 싶다.

angler@seoul.co.kr
2018-05-29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