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의 시간여행] 쟁기질하는 풍경

[이호준의 시간여행] 쟁기질하는 풍경

입력 2018-06-05 17:42
업데이트 2018-06-05 1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뜻밖의 풍경이었다. 지난 초봄 어느 산골 마을을 지나다가 누가 잡아당기기라도 한 듯 걸음을 멈추고 말았다. 나이 지긋한 농부가 소를 어르며 비탈밭을 갈고 있었다. 경운기나 트랙터가 들어가기 어려워 보이는 경사진 밭이었다. 어찌 보면 평범한 풍경인데, 생각해 보면 무척 오랜만에 만나는 장면이었다. 마치 1970년대쯤의 흑백사진 한 장이 거기 걸려 있는 것 같았다. 아! 이곳은 아직도 소를 채근하는 농부의 목소리로 봄을 여는구나. 잊고 있었던 풍경들이 하나 둘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

나무들이 여린 연두잎을 내밀 무렵 들녘에는 소를 모는 농부의 목소리가 울려 퍼지고는 했다. 봄은 쟁기의 보습을 타고 논으로 밭으로 춤추듯 왔다. 겨우내 꽁꽁 얼었던 땅은 봄바람의 간지럼에 저도 모르게 눅지근하게 풀어져 버렸다. 하지만 그 땅에 그대로 씨를 뿌리는 농부는 없었다. 깊숙한 곳에서 잠자고 있는 땅의 속살을 끄집어내어 햇볕과 바람 아래 널어 두는 것으로부터 한 해 농사가 시작되었다.

지난해 양분을 내어준 땅거죽을 갈무리하여 쉬게 하고, 힘을 비축한 속살을 불러내는 게 바로 쟁기질이다. 농부들은 추수가 끝난 늦가을부터 새 봄의 농사를 준비했다. 보습이 녹슬지 않도록 잘 챙겨 두는 것은 물론 겨우내 지극정성으로 소를 돌봤다. 쇠죽을 끓일 때마다 쌀겨를 듬뿍 넣고 사람도 아껴 먹는 콩으로 보신을 시키기도 했다. 겨울에 잘 먹여 둬야 봄에 힘을 잘 쓰기 때문이다.

남녘으로부터 꽃소식이 들려오면 농부는 살이 두둑하게 오른 소를 앞세우고 논밭으로 나갔다. 멍에를 얹고 쟁기를 지운 다음 “자! 올해도 잘해 보자” 하고 부탁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겨울에 새끼를 낳은 암소는 안타까운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엄마를 따라 밭으로 나온 송아지는 쟁기질을 하는 내내 따라 다니고는 했다.

아무 소나 쟁기를 끄는 게 아니듯이 농부도 아무나 쟁기질을 할 수 있는 건 아니었다. 쟁기질에 서툰 사람은 소에게 질질 끌려다니다가 삐뚤빼뚤 땅거죽만 벗겨 놓고 말기 십상이었다. 보습을 적당히 대어 제대로 갈아엎지 않으면 쟁기질을 하나 마나다. 그렇다고 보습이 땅에 박혀 버릴 정도로 깊이 찔러 넣으면 힘만 빠지지 앞으로 나가지 못한다.

기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와의 교감이었다. 좋은 농부는 소와 대화를 나눌 줄 알았다. 소를 구경하기 어려운 궁벽한 산골이나 놉을 사기도 어려운 집에서는 아내가 소가 되고 남편이 쟁기잡이가 되어 밭을 갈기도 했다. 원래는 작물 심은 밭의 이랑을 돋울 때 다른 작물을 다치지 않기 위해 사람이 끌었던 것인데, 어느덧 가난의 상징이 된 것이다.

요즘은 사람이 끄는 쟁기질은커녕 소가 끄는 쟁기질도 보기 어렵다. 어지간한 벽지, 손바닥만 한 논밭도 기계가 갚아엎는다. 소를 거두는 것도 힘들지만, 쟁기질을 할 만한 근력을 가진 농부들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니 경운기를 몰 능력마저 안 되면 눈물을 머금고 묵정밭을 만드는 수밖에.

이제 쟁기질하는 모습을 보려면 산골짜기 비탈밭이나 기계가 들어가기 어려운 다랑논을 찾아가야 한다. 사정이야 어떻든 간에, 농촌에 갈 때마다 쟁기질이 사라진 풍경은 소나무가 빠진 산수화처럼 허전하기 그지없다. 세상은 앞으로 달려가는데 자꾸만 뒤를 돌아보는 ‘선천적 그리움증’이 더 문제일지도 모르지만….
2018-06-06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