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욱의 파피루스] 사랑의 말

[서동욱의 파피루스] 사랑의 말

입력 2018-06-29 17:38
업데이트 2018-06-29 1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은 계속 흐르니 아버지, 어머니께도 사랑한다는 말을 많이 해 드리고 싶다. 그러나 잘 안 된다. 그간 연습이 없었던 까닭이다. 아이에게는 태어나 요람에 누웠을 때부터 일부러라도 ‘사랑한다’는 말을 계속한다. 안 쓰면 잊히고 마는 외국어처럼 언젠가 말문이 막혀 버릴지 모르는 까닭이다.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사람들은 가까운 사람일수록 사랑한다와 같은 마음의 말을 잘하지 않는다. 사랑하는 거 당연히 알 텐데 뭐 하러 하나 하는 심정에서이다. 또는 일상은 젖은 옷처럼 회색으로 처진 채 생기가 없는데, 그 일상에 한 번 얹어 보자니 사랑이라는 말이 너무 화려해 어색하게 느껴져 그럴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떤 말들은 생활 속에서 사람들이 사용함으로써만 인공호흡으로 숨결을 얻듯 생명을 얻는다. 법의 말은 이와 다르다. 법은 법전 속에 기입되어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법은 사람들의 귀에 늘 자신의 법조항을 속삭일 필요가 없다. 그것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책 속에서 뛰쳐나올 준비가 되어 있다. 위법자를 기다리면서 말이다. 사랑의 말은 발화되지 않으면, 바람이 없을 때 죽는 바람개비처럼 고개를 숙이고 쿨쿨 잠잘 뿐이다.

그런데 사랑의 말은 법전에 쓰인 것과는 다르지만 역시 ‘일종의 법’이다. 왜 그것은 법인가?

‘사과는 빨갛다’와 같은 문장은 그것을 말하는 일이 그 문장을 유효한 것으로 만들진 않는다. 현실의 사과가 빨갛기 때문에, 이 사실에 의존해서 저 문장은 참된 것으로서 유효하게 된다. 그러나 어떤 말은 꼭 입으로 내뱉어야만 유효해진다. 사랑한다와 같은 말, 맹세한다와 같은 말이 여기 속한다. 사랑은 어디 있는가? 맹세는 어디 있는가? 그것은 말 속에 있다. 사랑한다는 말이 사랑을 비로소 현실로 만든다. 맹세한다는 말만이 비로소 맹세를 세상 속에 등장시킨다. 사랑한다는 말은 이미 있는 현실 속의 사랑을 묘사하는 말이 아니라, 사랑을 창조해 내는 말이라는 것이다.

기도나 주문의 말 역시 비슷하다. 기도는 언제 기도가 되는가? 기도문이 짧은 몇 문장으로 되어 있어서 그것을 한 번 외우고 나면 기도는 끝인가? 왜 신앙을 가진 이는 기도문을 완벽히 한 번 외우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늘 반복해서 기도하는가? 기도는 발화되는 그 순간에만 기도로서 현실이 되기 때문이다. 일회적 발화로 충족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발화가 이루어질 때만 의미 있는 것이 된다. 주문 역시 마찬가지다. 창과 칼이 무기고에 있다고 적을 이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들고 휘둘러야 이길 수 있는 것처럼, 주문 역시 책에 적혀 있다고 효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마법사가 발화하는 순간에만 현실이 된다.

사랑의 말도 말해지는 순간 비로소 현실이 된다. 현실이 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바로 말하는 사람을 구속하는 ‘법’으로서의 효력을 지닌다는 뜻이다. 이 점은 맹세한다는 말에서 더욱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맹세는 어떤 법의 문장에 근거해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오로지 ‘맹세한다’고 말하는 행위 자체가 그 말을 하는 자를 구속하는 법인 것이다. 그러니까 맹세의 말과 더불어 지상에 없던 유일무이한 법, 오로지 맹세의 말을 한 사람만을 구속하는 새로운 법이 탄생한다.

사랑의 말 역시 그렇다. 사랑한다는 말은 말하는 자에게 사랑에 전념하는 자가 될 것을 약속하라고 강요하는 법이다. 이성에게 사랑의 고백을 할까 망설이다가 포기하고 돌아서는 사람들을 종종 주변에서 볼 것이다. 그때 포기를 통해 모면하는 것은 무엇인가? 바로 사랑에 전념하는 자로 스스로를 구속하는 사랑의 법의 지배를 모면하는 것, 사랑의 법으로부터 면책받는 것이다. 면책과 동시에 그는 자유를 얻는데, 그것은 무인도에서 제 맘대로 할 수 있는 자유이다.

그러니 부모와 아이와 반려자에 대한 사랑은, 한 가정의 장롱 안에서 쿨쿨 잠자며 안전하게 보관된 금 덩어리 같은 것이 아니다. 사랑을 금 덩어리로 믿고 보관해 놓은 채 영영 잊고 있다가 문득 생각나 꺼내 보면 그것은 장롱의 나프탈렌처럼 다 녹아 사라지고 흔적도 보이지 않으리라. 오로지 입 위에 올려놓을 때만 사랑은 비로소 현실이 된다. 사랑은 죽기 쉬운 생명체인 듯 끊임없이 발화로 숨결을 불어넣어 주어야만 살아 있다.
2018-06-30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