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성 AI스피커 ‘갤럭시홈’ 구글·아마존 아성 흔드나

삼성 AI스피커 ‘갤럭시홈’ 구글·아마존 아성 흔드나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8-12 21:08
업데이트 2018-08-13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방향 서라운드 고품질 음향 제공
예매·음원·교통 등 서비스 업체와 제휴
11월 40곳으로 늘려 빅데이터 약점 보완
이미지 확대
‘갤노트9’ 세계 곳곳 홍보
‘갤노트9’ 세계 곳곳 홍보 삼성전자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갤럭시노트9을 공개한 직후 미국, 영국, 러시아 등 세계 주요 국가에서 대형 옥외광고를 시작했다. 사진은 12일 영국 런던 피카딜리서커스에 선보인 옥외광고의 모습. 갤럭시노트9은 오는 24일 국내에 정식 출시된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노트9’ 언팩 행사에서 깜짝 공개한 스마트 스피커 ‘갤럭시홈’이 기존 시장을 흔드는 다크호스가 될지 주목된다. 자사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 ‘뉴빅스비’를 실은 갤럭시홈의 가장 큰 특징은 고품질 음향, 그리고 다양한 외부 기업(서드파티)과의 연결성이다. 스마트 스피커의 후발 주자인 갤럭시홈이 ‘제2의 갤럭시’로 자리매김하려면 빅데이터를 앞세워 시장을 선점한 아마존, 구글은 물론 국내 통신·포털사까지 뚫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지수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 전략그룹 상무
이지수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 전략그룹 상무
갤럭시홈의 정식 출시일과 상세 스펙, 가격은 오는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에서 공개된다. 이에 앞서 이지수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전략그룹 상무는 이날 뉴욕 현지 브리핑에서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폰·TV 등 연동… 앱 없이도 예약·결제

이 상무가 앞세운 갤럭시홈의 장점은 ‘놀랄 만한 사운드’와 ‘연결성’이다. 가전기기 제조사의 경험을 결합해 스마트폰은 물론 TV, 냉장고 등과도 연동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을 따로 다운받지 않아도 빅스비가 티켓마스터(예매), 우버(교통), 스포티파이(음원), 구글맵(지도), 망고플레이트(맛집) 등 파트너사 앱에서 정보를 끌어와 예약, 결제까지 완료해 준다. 탈것을 부르고 싶을 때 “자동차 불러 줘”라고만 말해도 스스로 알아서 우버에서 택시를 불러 준다. 국내외 제휴 업체는 분야별로 오는 11월까지 40여개가 될 전망이다. 또 자사가 인수한 하만의 AKG 스피커를 탑재해 전방향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고, 8개의 마이크가 멀리 있는 목소리도 알아듣는다.

다른 AI 기기와의 차별점에 대해 이 상무는 “검색, 음악 등 (기기마다 특화) 분야가 있다면 우리는 파트너사와의 연동”이라고 했다. 이어 “아마존, 구글, 국내 통신사와 달리 스마트폰 제조사가 가진 시너지를 계속 발전시켜 가겠다”고 덧붙였다. 상대적으로 뒤처지는 빅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협력업체와의 제휴 확대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예상 가격 30만원대… 음성인식 향상도 과제

이 상무는 “맥락을 이해하고 사용자 패턴을 학습해 맞춤형 정보까지 주는 게 목표”라고 했다. 하지만 SK텔레콤 ‘누구’, KT ‘기가지니’ 등 통신사들마저 이미 한발 앞서 나간 분야여서 향후 서비스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빅스비의 고질적 문제로 거론됐던 음성 인식률도 문제다. 이날 시연에서 뉴빅스비는 질문을 세 번 알아듣지 못하는 등 다소 둔한 모습을 보였다. 가격도 시장의 진입 장벽이 될 전망이다. 갤럭시홈 예상 가격은 30만원대다. 10만원대인 국내 스마트 스피커들과 비교하면 고가다. 시장조사 업체 CIRP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스마트 스피커 시장은 아마존이 70%, 구글이 24%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더버는 “삼성이 갤럭시홈을 아마존 에코와 동급으로 만들려면 알렉사만큼 똑똑한 어시스턴트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욕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8-13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