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수능일의 다짐, SKY 콤플렉스를 던져 버리겠다/이창구 사회부장

[데스크 시각] 수능일의 다짐, SKY 콤플렉스를 던져 버리겠다/이창구 사회부장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8-11-15 22:22
업데이트 2018-11-16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대 나오셨죠?” “아뇨.”

“아, 그럼 관악인가 보네. 저도 관악이에요.” “관악요?”

20년 전 송파경찰서 수습기자실에서 처음 만난 다른 언론사 수습기자와 나눈 대화다. 그는 한눈에 봐도 시골 출신처럼 생긴 나를 고대 출신으로 넘겨 짚었고, 아니라고 답하자 자신과 같은 서울대 출신인 줄 알았다.
이미지 확대
이창구 전국부장
이창구 전국부장
“특이하네. 어떻게 입사했지? 4년 장학생이었나?” 역시 수습 시절 국회 기자실에서 만난 회사 선배는 자기소개를 훑어보더니 이렇게 물었다. 마땅히 대꾸할 말이 떠오르지 않는 머릿속에는 “오면 안 될 곳에 왔구나”라는 생각만 가득 찼다.

그들은 까맣게 잊었겠지만, 나에겐 아직 지워지지 않는 기억이다. SKY(서울대·고대·연대)를 나오지 않은 나는 입사 이후 종종 이런 경험을 하면서 자격지심에 시달렸다. 자격지심은 “SKY 나온 사람보다 더 열심히 하자”는 다짐으로 이어지기도 했지만, 나를 위축시킬 때가 훨씬 많았다.

정부 기관이든 민간 기업이든 출입처 홍보팀의 기자단 명단표에는 어김없이 출신 대학이 적혀 있었다. 장관이나 CEO가 기자단과 오·만찬을 할 때에도 학벌이 적힌 명단표가 헤드테이블에 놓였다. 기사로 기자를 판단하기보다는 출신 대학 파악이 우선인 듯했다.

학벌은 검찰과 법원, 국회, 기획재정부와 같은 권력 기관을 취재할 때 ‘넘사벽’으로 작동하기도 했다. 법조 출입기자들에겐 기자 근성보다 서울대 법대 또는 고대 법대 타이틀이, 기재부나 재계 출입기자들에겐 서울대 상대 또는 연대 상대 졸업장이 더 유용한 것 같았다. 정치부 기자들의 중요 취재 현장인 저녁 술자리도 학벌로 엮이는 경우가 허다했다.

“서울신문 이창구 기자입니다”라는 인사말에는 경계심을 드러내던 취재원이 “선배님, 저 OO학과 OO학번입니다”라고 말하는 다른 기자에겐 “아! 그래”라며 격한 호감을 보이는 장면도 많이 봤다. 애착을 갖고 시민운동을 취재하던 2000년대 초반 박원순, 김기식, 이태호 등 당시 참여연대 핵심 멤버들이 전부 서울대 출신임을 알았을 때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사람도, 한국 사회를 바꾸려는 사람도 온통 서울대 출신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씁쓸했다.

언론사들은 SKY 출신 취재원에게 접근하기 쉽다는 핑계로 SKY 출신을 끌어모으는 것 같다. 2016년 방송기자연합회가 KBS·MBC·SBS·YTN 기자 1287명의 출신 학교를 전수조사한 결과 SKY 출신이 60.1%였다. 2003년 발간된 ‘학벌 리포트’에 따르면 그해 6월 기준 서울·경향·한겨레·조선·중앙·동아일보의 부장급 이상 간부 263명 중 67.3%가 SKY 출신이었다. 이 비율은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SKY 출신들이 언론사 입사 시험에 강한 측면도 있겠지만, 언론사가 SKY 출신을 선호한 결과로 보는 게 더 타당할 것이다.

59만명의 청춘들이 수능을 치른 날, SKY를 나오지 못한 콤플렉스를 늘어놓은 것은 더 늦기 전에 학벌의 굴레에서 벗어나겠다는 다짐을 했기 때문이다. 학벌로 인생이 결정되는 구조를 무너뜨리지 않는 한 아이들을 지옥에서 구출할 방법이 없다. 학벌 타파에는 정부의 역할만큼 학부모 개인의 각성과 행동도 중요하다. 그래서 나는 앞으로 고등학교에 다니는 딸에게 “대접받고 살려면 SKY에 들어가야 한다”는 말은 다시 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나는 후배들의 출신 대학을 알려고 하지 않을 것이며, 서울신문이 다양한 출신들로 채워지는 언론사가 되도록 힘을 보탤 것이다. 기성 언론이 도태되는 이유 중 하나는 비슷한 대학, 비슷한 경험, 비슷한 사고를 하는 기자들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window2@seoul.co.kr
2018-11-16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