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리’

“모든 어머니에게 바치는 재미있고 진심 어린 헌사.”
영화 ‘툴리’
영화 잡지 필름저널은 영화 ‘툴리’를 이렇게 평한다. 세 아이를 혼자 키우는 엄마 마를로(샬리즈 시어런)에 대한 이야기니까 그렇게 볼 만하다 싶다. ‘세 아이를 혼자 키운다고? 싱글맘인가?’ 싶겠지만, 아니다. 마를로는 남편 드류(론 리빙스턴)와 같이 산다. 육아와 가사가 그녀의 몫일 뿐이다. 드류는 이른바 ‘바깥일’에만 신경 쓴다. 이 작품에서 그의 출연 비중은 많지 않다. 그래도 그가 가정에 끼치는 가부장적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집에서는 손가락 하나 까딱 않는 드류에게 마를로는 싫은 소리 한 번 안 한다. 그러니 그녀의 심신이 쇠약해질 수밖에.

이런 마를로를 구한 사람이 야간 보모 툴리(매킨지 데이비스)다. 툴리는 매일 밤 마를로의 집에 와 신생아인 막내를 아침까지 봐 준다. (당연히 야간 보모를 고용하는 비용은 만만찮다. 그렇지만 운 좋게 마를로에게는 부유한 오빠가 있었다. 그가 동생에게 경제적 도움을 준 것이다.)
영화 ‘툴리’
툴리 덕분에 마를로의 삶에 여유가 생기기 시작한다. 잠을 푹 잘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그렇다. 심지어 툴리는 집도 깔끔하게 청소해 주고 컵케이크까지 만들어 놓는 만점짜리 야간 보모다. 한마디로 그녀는 미국판 우렁각시인 셈이다. “아이만이 아니에요. 당신도 돌보러 왔어요.” 그런 툴리의 전언은 마를로를 넘어 관객까지 감동시킨다.

하지만 당신에게 당부하고 싶다. 그 감동을 조심해야 한다고 말이다. 얼핏 ‘툴리’는 독박 육아와 가사에 시달리는 여성에게 위로를 건네는 작품처럼 보인다. 그러나 위로의 정체를 곰곰 따져 보면 실은 그것이 얼마나 기만적일 수 있는가를 알게 된다. 이 글에서는 밝힐 수 없는 반전을 염두에 둬도 마찬가지다.

‘툴리’는 올해 만들어진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어진 어머니이면서 착한 아내’라는 관습적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를 답습한다. 예컨대 이 작품은 기업 인사과에서 근무하던 회사원 마를로를, 계속 어머니로서의 마를로로만 붙들어 매놓는다. 툴리가 그녀를 다음과 같이 격려하는 장면도 그중 하나다.

“(엄마이자 아내로서) 매일 같은 일을 해주는 것이 가족에겐 선물이에요. 삶도 결혼도 집도 심심하지만 그게 멋진 거예요. 아이들을 안정적으로 잘 키우는 일, 그게 대단한 거예요.” 이 말대로 육아와 가사는 결코 폄하될 행위가 아니다. 문제는 이른바 ‘안 일’의 가치를 긍정하는 발언을 여성이 하고, 이를 다른 여성에게만 강조한다는 데 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아빠이자 남편으로서 남성이 마땅히 짊어져야 하는 육아와 가사 책임, 나아가 공적 사회의 역할은 여기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가족에게 선물이 되는, 그토록 멋지고 대단한 일을 왜 마를로만 할까. 언제까지 우리는 금방 원래대로 돌아가 버리는 남성의 회심에만 기대를 걸어야 하나. 이에 대해 ‘툴리’는 답하지 않는다.

허 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