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때의 사회면] 입시 합격자 발표 철의 대소동

[그때의 사회면] 입시 합격자 발표 철의 대소동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1-13 16:54
업데이트 2019-01-14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89년 12월 서울대 대운동장 합격자 발표장에 몰린 응시생들(서울신문 1989년 12월 28일자).
1989년 12월 서울대 대운동장 합격자 발표장에 몰린 응시생들(서울신문 1989년 12월 28일자).
“학부형들이 각 대학 또는 대학본부에 밀려들어 대혼잡을 일으키고 골머리를 앓는 대학 당국자들은 산지사방으로 도피하는 등 일장의 연극이 연출되었다. 합격자가 발표되자 고등학교 모자를 내던지고 친구끼리 얼싸안고 기쁨을 구가하는 합격자가 있는가 하면 구슬 같은 눈물을 흘리며 자리에서 떠날 줄 모르는 여학생 등 희비 쌍곡선이 전개되었다.”(동아일보 1953년 3월 26일자) 대학들은 운동장 게시판이나 건물 벽에 붓글씨로 쓴 합격자 명단을 내다 걸었다. 모바일로 간편하게 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요즘 젊은 세대에겐 생경한 풍경이 아닐 수 없다.

대학이나 중고교 합격자 명단은 라디오에서도 방송했고 신문 호외로도 뿌려졌다. 합격자 방송은 1967년 입시 과열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중단할 때까지 지속됐다. 발표가 임박하면 대학과 언론의 줄다리기가 벌어졌다. 1966년 서울대 합격자 발표는 2월 12일 새벽 4시로 예고돼 있었다. 기자들은 방송과 신문 호외를 준비하며 밤새 떨며 기다렸다. 그러나 Y총장은 과도한 취재경쟁 탓이라며 발표를 늦추고 합격자 최종 결정 장소를 총장 공관으로 옮긴 뒤 개를 풀어놓고 접근을 막아 반발을 샀다(경향신문 1966년 2월 12일자).

시험제 당시의 중고교 합격자 발표는 대학보다 더 과열됐다. “(합격자를 발표할) 경기중학교 교문에는 학부모들이 몰려와 성급한 학부형들은 담을 뛰어넘고 창문을 기웃거리는가 하면 벌써 시험 관리가 불충분하다며 교장 면회를 요청, 문이 부서지라는 듯 두들기기도 했다.”(동아일보 1961년 12월 9일자) 신문사들은 합격자 명단을 입수해 전화로 합격 여부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했다. 1만통이 넘게 걸려온 전화에 철야 근무를 하며 답변하느라 기자들은 목이 쉴 지경이었다. 1961년 윤보선 대통령의 아들이 경기중학교에 응시하자 청와대에서도 신문사에 문의 전화를 걸어왔는데 “떨어졌습니다”라는 답변을 듣고도 번호를 불러 주며 재삼 확인했다고 한다.

낙방생의 부모가 못 믿겠다며 새벽에 학교에 찾아가 수위를 깨워 호통을 친다거나 학교 담을 넘어가 유리창을 깨는 학부모들의 과격한 행동은 입시 철마다 반복됐다(경향신문 1967년 12월 5일자). 벽에 붙은 합격자 명단에서 이름을 칼로 오려 가져가는 행위는 그나마 애교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 전화국에서 자동응답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1991년 12월 서울 용산과 반포 일대의 전화 불통은 폭주한 대학 합격자 문의 전화 때문이었다. 합격자 발표 철의 소동은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점차 사라져 갔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9-01-1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