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년 새 남성 일자리 5000개 줄고 여성은 21만 8000개 늘어

1년 새 남성 일자리 5000개 줄고 여성은 21만 8000개 늘어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9-03-21 22:26
업데이트 2019-03-22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이미지 확대
지난해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21만 3000개 늘었지만 증가세는 둔화됐다. 특히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남성 일자리 감소세가 두드러진 반면 도소매업과 보건·사회복지업에서는 여성 일자리 증가세가 뚜렷했다. 또 우리 경제의 허리인 30대와 40대 일자리는 감소하고 50대 이상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1일 공개한 ‘2018년 3분기(8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을 보면 지난해 3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810만 4000개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만 3000개(1.2%) 늘었다. 하지만 일자리 증가폭은 지난해 1분기 이후 둔화세다. 지난해 1분기(2월 기준) 일자리 증가폭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1만 5000개였다가 2분기(5월 기준) 24만 5000개로 줄었고, 3분기(8월 기준)에는 더 축소됐다.

지난해 3분기에는 전년과 비교해 248만 3000개의 일자리가 사업체 폐업과 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졌고, 269만 6000개가 새로 생겼다. 같은 기간 지속된 일자리는 1225만 1000개(67.7%)였고,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15만 7000개(17.4%)였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과 제조업 침체 흐름이 뚜렷했다. 건설업 일자리는 11만 3000개 줄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사업 임대와 제조업은 각각 3만 6000개와 1만 9000개 줄었다. 특히 조선업이 포함된 ‘선박 및 보트건조업’ 일자리가 1만 5000개 줄었고, 자동차부품 제조업에서 8000개 줄었다. 반면 도소매업과 보건·사회복지는 각각 8만 6000개, 8만 4000개씩 늘었다. 전문·과학·기술(3만 7000개), 공공행정(3만 1000개), 정보통신(2만 4000개) 등도 증가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건설업이나 제조업 일자리 감소는 경기 영향을 받았고, 보건사회복지 증가는 사회복지와 의료인력 수요 확대 등 정부 정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일자리는 5000개 줄었고 여성 일자리는 21만 8000개 늘었다. 다만 전체 일자리 비중은 남성이 59.0%로 여성(41.0%)보다 많았다. 남성 일자리가 줄어든 이유는 건설업 임금근로자 일자리가 대부분 남성이었기 때문이다. 건설업 일자리 감소분 11만 3000개 중 남성 일자리가 10만 9000개를 차지했다. 반면 도소매업(8만 6000개 증가)과 보건사회복지업(8만 4000개 증가)에서 여성 일자리는 각각 4만 7000개, 7만 6000개가 늘었다.

박 과장은 도소매 일자리 증가와 관련, “일자리안정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자리안정자금은 고용보험 가입이 전제 조건인데 지난해 7월부터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도 생업 여부과 관계없이 고용보험에 가입하도록 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대별로는 30대와 40대 일자리가 각각 2만 7000개와 2만 6000개 감소했다.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은 각각 12만 2000개, 11만 4000개 증가했다. 20대 이하도 3만개 늘었다. 기업 종류별로는 정부·비법인 단체(9만 2000개), 회사법인(8만 7000개) 등에서 증가했지만, 개인 기업체에서 2만 6000개 감소했다. 정부 주도의 일자리 창출이 두드러졌다는 의미다.

이번 조사 결과는 월·분기별로 입수 가능한 행정자료 8종을 토대로 기업체에서 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근로자의 일자리를 파악한 것이다. 정부가 분기 단위 일자리 동향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로 취업자와는 의미가 다르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3-22 2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