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90년대생 신주류가 떴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07-17 22:04
업데이트 2019-07-18 2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간 특별기획… 1990년대생에게 중요한 가치

‘386세대’, ‘X세대’…. 이들이 거쳐 간 신세대의 빈자리에는 ‘88만원세대’, ‘삼포세대’ 같은 암울한 이름들이 스쳐 갔다. 그러나 2019년, 한국 사회의 신세대인 90년대생(1990~1999년생)들은 기성세대에 의한 ‘세대 규정’을 거부한다. 기성세대는 그동안 20대를 연애, 결혼, 출산을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불행한 세대라고 짐작했지만, 지금 20대들에게 연애, 결혼, 출산은 ‘하고 싶으면 하는 것’일 뿐이다. ‘나’의 삶이 일과 조직에 의해 파괴되는 것도 용납하지 않는다.
서울신문은 여론조사업체 칸타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13~14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가장 큰 스트레스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전체 응답자 중 49.6%가 ‘미세먼지, 질병, 범죄, 사고 등 안전문제’(49.6%)를 꼽아 단연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세대별로 나눠 본 결과 유독 20대에서만 ‘가족, 직장 선후배, 연인, 친구와의 갈등 등 인간관계 문제’(37.1%)를 최우선 스트레스로 꼽았다. 20대들이 ‘나’를 중심으로 한 관계망에 얼마나 신경 쓰고 있는지를 잘 보여 주는 결과다.
90년대생은 바로 윗세대인 80년대생들과도 결이 달랐다. 서울신문이 두 세대의 가치관을 관찰하기 위해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2일까지 604명을 설문조사하고 90년대생 20명을 집중 인터뷰한 결과 80년대생들은 조직에서 겪는 부당함을 어느 정도 감내할 뜻이 있었으나, 90년대생들은 ‘지금 나의 행복’을 위해 미련 없이 조직에 등을 돌리는 경향이 짙었다. 두 세대 모두 ‘자아실현’을 인생 최대 목표로 꼽고 자신들의 삶에 침입해 들어오는 ‘꼰대’들을 거부했지만, ‘지금 이 순간의 나’에 천착하는 강도는 20대가 훨씬 강했다. 이 때문에 조직에 새롭게 진입한 90년대생과 서서히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80년대생 사이에는 ‘신(新)세대갈등’ 조짐도 보였다.

서울신문은 창간 115주년을 맞아 10회에 걸쳐 신인류로 등장한 90년대생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조명한다. 이들이 기존 질서에 낸 균열이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변화와 진보로 이어질 수 있는지도 모색한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사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그래픽 김예원 기자 yean811@seoul.co.kr

2019-07-18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