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장단기 금리 역전, 경기침체냐 불확실성이냐/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열린세상] 장단기 금리 역전, 경기침체냐 불확실성이냐/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9-08-22 17:18
업데이트 2019-08-23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최근 국제 금융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는 미국 국채시장에서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높게 형성되는데 이례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10년물 금리가 2년물 금리를 하회한 것이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던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그 후 경기침체가 발생한 경우가 많아 자연스럽게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가 금융시장에 확산된 것이다. 물론 이번에는 다르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금리 역전 현상이 일시적이었던 데다 주요 원인도 무역분쟁 등 불확실성이나 미국 국채에 대한 과도한 선호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다른 모든 금융 변수들처럼 장단기 금리도 수많은 요인이 얽혀서 결정되기 때문에 그 원인을 일률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다만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중요한 요소인 것만은 분명하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경제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영향을 많이 받는 단기금리는 당장의 경제상황을 여실히 반영한다.

장기금리는 단기금리의 합성이라고 볼 수 있다. 2년물 국채를 만기까지 보유했다가 다시 매수하는 것을 다섯 번 반복하면 10년물 국채에 투자하는 것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장기 투자는 단기 투자를 반복하는 것보다 불확실성이나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금융 이론에서는 투자자들이 위험을 싫어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현재의 단기금리가 앞으로 똑같은 수준에서 유지되더라도 장기금리는 위험 프리미엄을 반영해 그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만일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면 이는 미래의 단기금리가 현재보다 낮은 것을, 그것도 하락폭이 위험 프리미엄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도로 미래의 경제상황이 안 좋을 것이라는 게 R의 공포다. 그러나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등의 경제지표를 보면 미래 경제상황이 그렇게까지 나쁠 것이라고 믿기 어렵다. 먼저 미국 경제의 가장 큰 구성 요소인 소비가 탄탄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미국, EU 등에서 고용지표가 크게 개선된 것은 향후 경제상황의 호조세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경기침체가 발생하기 전에는 이상 과열 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인데 아직까지 그런 흐름이 뚜렷하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기금리가 낮아진 이유를 다른 데서 찾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 등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을 들 수 있다. 향후 경제가 어떻게 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데 대표적인 안전자산이 금이나 미 달러화 표시 국채다. 더욱이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기업들이 투자를 미루기 때문에 중장기 자금 수요도 줄어들게 된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등 중앙은행들이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매수한 것도 중요한 원인으로 거론된다.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미국 채권시장의 수급 여건이 바뀌게 되고 결과적으로 장단기 금리차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설명은 현재로서는 경기침체론보다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경우 결국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투자를 꺼리게 된다. 연구개발(R&D) 투자를 하고 공장을 짓는 활동은 긴 시간에 걸쳐 기업 경영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기업 투자는 민간 소비와 함께 GDP의 주요 구성 항목이므로 불확실성을 그대로 방치했다가는 진짜로 경기침체에 직면할 수 있다.

한국은 이러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직접 좌우하기 어렵다. 게다가 최근 일본과의 갈등으로 국내 기업이 마주하는 불확실성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갈등 역시 한국 정부가 초래한 것이 아닌 만큼 불확실성을 직접 통제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불확실성 속에서 장기 투자를 해야 하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더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기업들이 5년, 10년 또는 그보다 긴 안목에서 R&D나 생산설비 투자를 하려면 당장의 경제대책보다 근본적이고 참신한 정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차분하고 냉정한 대처는 불확실한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되기는 어렵다.
2019-08-2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