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단발령에 올라 금강산 바라볼 날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단발령에 올라 금강산 바라볼 날은

입력 2019-08-26 17:48
업데이트 2019-08-27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선, ‘단발령망금강산’, 1711, 36x37.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선, ‘단발령망금강산’, 1711, 36x37.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가슴이 뻥 뚫린다. 비 오듯 땀을 흘리고 오른 단발령에서 저 멀리 금강산을 바라보는 기분. 아마 그럴 것이다. 탁 트인 경치에 눈은 시원하고, 마음은 새털처럼 구름처럼 가벼워지는 게 아닌가. 고작해야 보통 공책보다 조금 클 뿐인 이 그림이 뿜어내는 호쾌함이란 보는 이를 단박에 단발령 위로 옮겨놓고야 마는 마력에서 비롯된다.

이 그림은 정선(鄭敾ㆍ1676~1759)이 35세 때인 신묘년(1711)에 금강산을 그린 실경산수화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風嶽圖帖) 13폭 중 한 폭이다. 이 화첩에는 금강산이 한눈에 들어오게 그린 ‘금강내산총도’(金剛內山總圖)를 비롯해 장안사, 보덕굴, 피금정, 해산정, 총석정 등 금강산 곳곳의 명소 그림이 실려 있다. ‘신묘년풍악도첩’의 첫 번째 그림인 ‘단발령망금강산’(斷髮嶺望金剛山)은 문자 그대로 ‘단발령에 올라 금강산을 바라보는’ 장면을 그렸다. 정선만이 아니고 단발령에 올라 금강산을 바라보는 그림을 남긴 이가 여럿이니 당시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코스였음은 분명하다.

금강산 남쪽에 있는 단발령은 이제 본격적으로 금강산 구역에 들어간다는 것을 알려주는 대문 같은 고개다. ‘머리를 깎는 고개’, 즉 ‘단발령’이란 이름은 누구든 이 고개에 올라 금강산을 보는 순간 자연이 보여 주는 장관에 압도당해 바로 속세의 미련을 버리고 기꺼이 머리를 깎아 승려가 된다고 해서 붙었다. 금강산도 금강산이지만 멀찍이서 산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단발령의 산세 역시 만만치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은 크게 대각선으로 나누어 오른편 하단에 단발령을, 왼편 상단에 금강산을 배치했다. 개미처럼 작게 그려진 단발령 고갯마루의 선비들이 정선 일행인 셈이다. 단발령에서 금강산을 바라보는 것이기에 가까운 단발령이 멀리 있는 금강산보다 더 크고 자세히 그려졌다.

진한 먹으로 점을 찍어 윤곽을 명확히 한 단발령 아래 굽이굽이 이어진 산길로 노새를 끌고 올라가는 사람들을 보면 고개를 오르는 여정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아스라이 펼쳐진 구름 너머로 흰 산봉우리 1만 2000봉의 금강산이 보인다.

어둡고 탁해 보이기까지 하는 단발령을 그린 필치와 깔끔하고 투명해 보이는 금강산의 대비는 마치 숲이 우거진 여름과 앙상한 겨울을 보는 듯한 착각마저 준다. 공간의 거리감이 절묘한 시간 속으로 환원된다.

실제로 이 그림은 철저히 관찰자 시점으로 그려졌다. 몸은 단발령에 있는 선비 무리에 있으면서도 정선의 관점은 그들과 함께 있지 않은 것이다. 화가는 단발령도, 금강산도 아닌 제3의 위치, 왼편 하단 보이지 않는 어느 곳에서 단발령을 바라본다. 그리고 그는 다시 고개를 왼편으로 돌려 삐죽삐죽 등을 맞대고 선 금강의 날카로운 봉우리들을 그렸다. 한눈에 들어오는 풍경을 고정된 시점에서 그린 서양의 그림들과 달리 관람자가 화가의 시선을 따라 움직이며 감상해야 하는 전형적인 산수화다.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단발령과 금강산이라는 우리나라의 경치를 그렸을 뿐만 아니라 갓 쓰고 도포 입은 조선의 선비들을 그렸다는 점에서도 조선의 산하를 조선의 눈으로 그렸다는 ‘실경산수화’의 진면목을 여실히 보여 준다. 명산과 고개를 이 작은 화폭에 아우른 조선 화가의 기개를 보여 주는 이 그림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에서 전시한다. 그림이 아니라 현장에서 그 기개를 체감할 수 있는 날은 언제일까.
2019-08-2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