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만든 래리 테슬러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만든 래리 테슬러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2-21 08:05
업데이트 2020-02-21 1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옛적 로마에서는 승리를 거두고 개선하는 장군이 시가 행진을 할때 노예를 시켜 행렬 뒤에서 큰소리로 “메멘토 모리!”라고 외치게 했다.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인데,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너무 우쭐대지 말라. 오늘은 개선 장군이지만, 너도 언젠가는 죽는다. 그러니 겸손하게 행동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아메리카 인디언 나바호족에게도 “네가 세상에 태어날 때 넌 울었지만 세상은 기뻐했으니, 네가 죽을 때 세상은 울어도 너는 기뻐할 수 있는 그런 삶을 살라”는 가르침이 전해진다. 죽음이 곧 삶이다. 의미있는 삶을 마치고 죽음을 통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이들의 자취를 좇는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오늘날 우리가 무심코 편리하게 쓰는 컴퓨터의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를 고안한 래리 테슬러가 75세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1973년 미국 실리콘 밸리에 있는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센터에서 직장 생활을 처음 시작했는데 제록스는 19일(이하 현지시간) 성명을 발표해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와 ‘찾기/바꾸기’ 등을 고안한 전직 연구원 래리 테슬러의 혁신적인 아이디어 덕분에 여러분의 작업이 훨씬 쉬워졌다”면서 안타깝게도 그가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AFP 통신은 그가 지난 17일 세상을 떠났다고만 전했는데 어디에서 어떻게 운명했는지는 전하지 않았다.

1945년 뉴욕 브롱크스에서 태어난 고인은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이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전문적으로 연구했다. 다시 말하자면 컴퓨터 시스템을 조금 더 이용자 친화적으로 만드는 일을 했다. 1979년 제록스 파크를 방문한 스티브 잡스가 테슬러에게 “당신은 금광 위에 앉아 있군요. 그런데 왜 이 기술로 뭔가를 하지 않나요? 당신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데”라고 말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이듬해 제록스를 떠나 애플에 합류해 17년을 근무하며 수석 과학자까지 승진했다. 수석 과학자란 직위는 잡스와 애플을 공동 창업한 스티브 위즈니악이 맡을 정도로 높은 직책이었다. 1997년 애플을 퇴사한 뒤에는 교육 스타트업 사업체를 꾸렸고, 아마존과 야후에서도 짧게 일한 적이 있다. 유전자 검사 서비스 ‘23andMe’를 개발하는 데 힘을 썼고 나중에는 독립 컨설턴트 일을 했다.

2012년 실리콘 밸리에서 BBC와 인터뷰를 갖고 “거의 일종의 경로 같은 게 있다. 돈 좀 벌고, 은퇴하지 말고, 다른 회사를 펀딩하는 데 시간을 쓰라 등등. 그런데 다음 세대와 함께 배우는 것을 공유하는 것이야 말로 굉장히 강력한 흥분을 일으킨다”고 털어놓았다.

그가 일으킨 혁신 가운데 가장 도드라진 것은 역시나 잘라내기/ 붙여넣기였는데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인쇄된 텍스트를 잘라내고 붙여넣는 행위를 대체하는 것이었다. 1983년 애플의 리사 컴퓨터에 처음 이 기능을 넣었고, 이듬해 매킨토시 오리지널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고인의 확고한 믿음 하나는 당시 소프트웨어 디자인에 공통적인 모즈(Modes) 기능을 쓰는 걸 그만 둬야 한다는 것이었다.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바꿀 때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는 이유에서였다. 오죽했으면 테슬러의 홈페이지 제목을 노모즈 닷컴(nomodes.com)이라고 붙일 정도였고, 트위터 계정 역시 ‘@nomodes’, 자동차 번호판에도 이 문구가 새겨졌다. 실리콘 밸리 컴퓨터역사박물관은 고인이 “컴퓨터가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대안문화에 대한 전망을 컴퓨터 과학 훈련과 결합시켰다”고 삶을 짧게 요약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