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주류 굳힌 86그룹·당내 지분 커진 이낙연 ‘견제와 균형’

주류 굳힌 86그룹·당내 지분 커진 이낙연 ‘견제와 균형’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4-16 22:42
업데이트 2020-04-17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영길·우원식·홍영표 당권 도전 유력
이 前총리 행보 따라 맞대결 가능성도

박주민·박용진·강훈식 등 재선그룹 주목
지역구 초선 67명… ‘친문’ 입김 세질 듯
전반기 국회의장에 박병석·김진표 물망
이미지 확대
당선 인사
당선 인사 4·15 총선 서울 종로에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당선자가 16일 종로구 숭인2동에서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며 당선 인사를 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4·15 총선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의 당선자를 합쳐 모두 180석을 석권하면서 여권 권력구도에도 새바람이 불게 됐다.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면서 86그룹은 당내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게 됐다. 이인영 원내대표, 우상호 전 원내대표 등을 비롯해 상당수 당내 86그룹 주자들은 4선 이상의 중진 반열에 올라서면서 당 대표와 대권을 노릴 힘을 가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 원내대표와 우 전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을 지낸 김태년 의원, 윤호중 사무총장 등이 이번에 나란히 당선돼 4선의 반열에 올랐다. 이들보다 연령대가 높지만 같은 운동권 출신으로 분류되는 홍영표·우원식 전 원내대표도 모두 4선 그룹에 합류했다. 지난해 전당대회에 출마했던 송영길 의원은 5선 중진이 됐다.

오는 8월 열릴 전당대회에서 이들 중 상당수가 당 대표에 도전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권에서는 송 의원과 우원식 전 원내대표, 홍 전 원내대표가 당권을 잡고자 경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선거를 승리로 이끌어 주목받는 이 원내대표는 8월 당권주자보다는 대권주자로서 움직일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선거를 진두지휘하며 당내 기반을 다진 이낙연 전 국무총리와 86그룹과의 맞대결도 주목받고 있다. 이 경우 이 전 총리를 견제하기 위해 86그룹 사이에서 출마와 불출마를 두고 치열한 눈치 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대거 ‘재선’ 타이틀을 획득한 ‘포스트 86세대’ 정치인들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최고위원을 지냈거나 주요 당직을 맡아 이름값을 높인 인사들이 본격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낼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세월호 변호사 출신으로 최고위원을 지내며 몸값을 높인 박주민 의원, 유치원 3법으로 이름값을 높인 박용진 의원 등의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이 임미리 교수 고발사건 등으로 위기에 처했을 때 홍익표 의원에 이어 수석 대변인직을 맡은 강훈식 의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인사청문회 국면과 선거법 개정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한 김종민 의원 등도 주목된다. 이들은 전당대회에 출마하거나 원내수석부대표 혹은 원내대표 등의 주요 직책에 도전하며 한 단계 더 나아갈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번 총선에서 전국 각 지역구에서 승리하며 대거 입성한 초선들의 세력 구성에도 이목이 쏠린다.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은 지역구만 총 67명의 초선이 당선됐다. 이 중 상당수는 청와대 출신이어서 당내 여론을 형성할 때 ‘친문’(친문재인)의 입김이 상당히 세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당장 21대 국회가 개원하면 선출할 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서도 친문 후보들이 강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는 전해철 의원, 박홍근 의원, 노웅래 의원 등이 도전장을 낼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중진 의원들의 국회의장단 경쟁 구도도 주목된다. 의장은 관례상 원내 1당이 맡도록 돼 있어 이번에도 민주당에서 배출될 가능성이 크다. 21대 국회에서 최다선인 6선이 되는 박병석(대전 서갑) 당선자와 5선이 되는 김진표(경기 수원무) 당선자 등이 주요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박·김 당선자 모두 온화한 성품과 다른 의원들과의 원만한 관계 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역시 5선이 되는 설훈 당선자 등도 의장직 도전 가능성이 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20-04-17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