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출금 못갚아 쫓겨날까 전전긍긍하는 미국의 하우스푸어들

대출금 못갚아 쫓겨날까 전전긍긍하는 미국의 하우스푸어들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9-20 14:56
업데이트 2020-09-20 14: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사태로 교외 단독주택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새로 지어지고 있는 단독주택들. EPA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로 교외 단독주택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새로 지어지고 있는 단독주택들. EPA 연합뉴스
미국 주택시장이 대출금을 제때 못 갚는 ‘하우스푸어’들이 증가하면서 대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코로나19 사태 확산에 따라 실직자들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대출금 연체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모기지 데이터회사 블랙나이트는 1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수백만 명이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하는 바람에 집을 팔아야 하는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고 밝혔다. 블랙나이트는 조사 결과 대출자 106만명이 대출금을 30일 이상 연체했으며, 이들 가운데 연방정부의 담보대출이나 상환 납부유예 자격을 갖춘 이는 68만명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부동산 컨설팅업체 젤만앤드어소시에이츠의 아이비 젤만 최고경영자(CEO)는 “많은 사람이 ‘집 부자’지만, 현금 가난뱅이”라며 “2∼3년 전에, 심지어 5개월 전에만 집을 샀더라면 그래도 자산을 가진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런 데도 올해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시장은 활황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만 해도 코로나19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주택매매가 급감했지만 저금리로 상환 부담이 낮아지면서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폭증했다. 지난 4~6월 미국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1조 1000억달러(약 1280조원)에 이른다.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불확실성이 잦아들지 않고 대출 상환 여력이 한계에 봉착한 이들이 늘어난다면 부실채권 증가와 연쇄 경매 등으로 금융시스템에 큰 충격파을 던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택 자산은 풍부하지만 코로나19 충격 등으로 돈을 갚기 어려워진 상황이 다수 집주인의 주택 매도를 촉발할 수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집값이 높은 만큼 팔아서 충분한 현금을 손에 쥘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실직 등으로 대출 상환금을 제때에 내지 못하는 미국인들이 늘고 있다. 모기지은행연합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 채무자의 7%에 이르는 350만 명이 상환금 일시유예 대상이다. 실제로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하는 채무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상황은 임대주택 투자자들에게는 ‘노다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월스트리트의 투자자들이 주택 매입을 위해 수십억 달러의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는 ‘실탄’ 확보에 나서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교외 단독주택들이 인기를 끌자 기업형 임대사업자들이 이를 집중적으로 사들이거나 직접 건설에 나서고 있다. WSJ는 블랙스톤그룹과 JP모건자산운용, 브룩필드자산운용 등 월가의 대규모 투자회사들이 기업형 임대사업자들에 수억 달러씩 투자한다고 전했다.

미국 1위 단독주택 임대사업자인 인비테이션홈스는 매도인이 자신의 집에서 임차인으로 계속 살 수 있는 ‘세일앤드리스백’ 프로그램을 제공해 어쩔 수 없이 주택 매도를 고려하는 집주인들의 구미를 당기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