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흥길 “‘큰 작품’ 쓰라는 박경리 선생 말씀, 이제야 이해”

윤흥길 “‘큰 작품’ 쓰라는 박경리 선생 말씀, 이제야 이해”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0-22 16:39
업데이트 2020-10-22 16: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10회 박경리문학상 수상한 윤흥길 작가
“‘큰 작품’이란 인간을 진지하게 성찰하는 글…
‘활인의 문학’하라던 선생 말씀 되새겨”

이미지 확대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윤흥길 작가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윤흥길 작가 제10회 박경리문학상을 수상한 윤흥길 작가가 22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수상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토지문화재단 제공
“박경리 선생님이 입버릇처럼 큰 작품 쓰라는 얘기를 많이 하셨어요. 분량이 많은 작품으로만 생각했는데 ‘문신’을 쓰면서 인간과 인생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고 치열하게 다루는 작품으로 해석하게 됐습니다.”

22일 온라인으로 만난 노(老)작가가 말했다. 제10회 박경리문학상을 수상한 윤흥길 작가다. 고 박경리 선생의 문학정신을 계승하는 세계적인 소설가에 시상하는 문학상에서 그는 제1회 고 최인훈 작가가 수상한 이래 9년 만에 뽑힌 한국인 작가다.

1971년 윤 작가가 ‘현대문학’에 발표한 단편 ‘황혼의 집’을 보고 거듭 칭찬한 이가 박경리 선생이다. 선생의 영향을 받아 쓴 작품이 수상작 중 하나인 장편소설 ‘문신’이다. 내년 봄 총 5권으로 완간되는 ‘문신’은 황국신민화 정책과 강제 징용이 한창이던 일제강점기 천석꾼 가족의 엇갈린 신념과 욕망을 그려 낸 작품이다.

작가가 ‘문신’을 쓰며 거듭 되새긴 것은 선생의 가르침인 ‘활인의 문학’이다. ‘너는 사람 죽이는 살인(殺人)의 문학을 하지 말고, 사람 살리는 활인(活人)의 문학을 하라’는 말이었다. “작중 인물을 맘대로 죽이고 살리는 소설을 쓰지 말라는 뜻으로 가볍게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알게 됐어요. 생명의 존엄성과 가치를 살리는 문학이라는 것을.” ‘활인’의 요소로 ‘해학’을 꼽은 작가는 “해학으로써 악인의 성선(性善) 가능성을 독자들이 느낄 수 있다”고 했다. 그만의 해학은 ‘문신’에 구성진 남도가락과 함께 담뿍 담겨 있다.

심혈관 질환으로 습작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그는 후배 문인들에게 체력을 기를 것을 특히 당부했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후배에겐 “절대 단칸방에서 신혼을 시작하지 말라”는 충고도 했다. 다소 어리둥절한 조언에 부연이 달리니 문호의 철학이 보인다. “집필 공간을 확보해야 좋은 작품을 많이 쓸 수 있어요. 낮 시간은 수많은 인류가 잘게 쪼개 쓰기 때문에 자기 몫이 작아요. 소수의 사람만이 활용하는 밤엔 집중이 굉장히 잘되거든요.” 모니터 너머로 작가는 신신당부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