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나토와 우크라이나/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나토와 우크라이나/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2-01-24 22:08
업데이트 2022-01-25 0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는 소련이 서베를린을 봉쇄하던 1949년 4월 창설됐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12개 회원국은 서베를린에 살던 220만 시민에게 생필품을 수송기로 나르면서 존재 가치를 증명했다. 소련이 나토에 대응해 만든 바르샤바조약기구는 소련 해체 이후 사라졌지만 나토는 그대로 남아 동진하고 있다. 1999년 헝가리·폴란드·체코 등 3국을 시작으로 옛소련권 나라들이 가입하면서 나토 회원국은 30개다.

31번째 회원국이 되길 원하는 우크라이나를 두고 미국·러시아가 일촉즉발이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2019년 개정 헌법에 나토 가입을 명시했다. 우크라이나마저 서방 세력인 나토에 가입하면 러시아는 ‘아시아화한 러시아, 유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러시아’(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거대한 체스판’)가 된다.

소련 붕괴 당시 우크라이나에는 1240개 핵탄두가 있었다. 미국, 러시아에 이어 제3위 핵 보유국이었는데 1994년 핵무기를 이전하면 독립과 주권을 보장하고 무력행사나 위협, 경제제재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부다페스트 각서가 체결됐다.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영국 등 4개국 정상이 서명했지만 러시아는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했다.

전 세계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고 보고 있지만 나토는 물론 우크라이나도 적전 분열 상태다. 미국은 군사적 지원을 주도하며 러시아의 국제 달러 결제망 배제 등을 언급하지만, 독일은 우크라이나의 무기 지원 요청을 거절했다. 프랑스는 미국을 배제한 유럽 자체의 집단안보 체제 구축을 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내부에선 친러와 친서방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냉전 이후 나토는 동맹국들의 정치적 입지 등에 따라 단결된 빠른 행동이 이뤄지지 않아 ‘종이호랑이’라고 불리곤 했다. 때론 ‘행동하지 않고 말만 한다’(No Action Talk Only)고 조롱받기도 한다. 시계를 돌려 우크라이나가 부다페스트 각서에 서명할 당시 핵탄두 일부를 자국에 남겼다면 상황이 어떻게 됐을까. 말만으로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걸 우크라이나가 아프게 보여 주고 있다.

전경하 논설위원
2022-01-25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