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암협회 “학력 수준 따라 암 사망률 격차 크다”?

미국암협회 “학력 수준 따라 암 사망률 격차 크다”?

최훈진 기자
입력 2018-07-11 11:48
업데이트 2018-07-11 1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졸자 ‘헬스케어’ 되면 폐암 사망률 2035년까지 59% 감소”

미국암협회(ACS)는 학력 수준에 따라 암사망률 크게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오티스 브롤리 미국암협회 의료총책임자는 이날 인터넷매체 악시오스에 “지난 25년간 데이터를 살펴보면 사회경제적 요인의 불평등은 암 사망률에 매우 큰 변수로 작용했다”면서 “특히 대학을 졸업한 미국인의 암 사망률은 고졸자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고 밝혔다.

브롤리가 언급한 사회경제적 요인에는 가난, 인종, 식습관, 운동량, 학력 등이 포함됐다. 그는 “이에 따른 건강 관리의 격차가 좁혀지면 올해 예상되는 미 내 암사망자 수인 61만명 가운데 25%에 해당하는 15만명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회 측은 이날 발간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한 미국인들의 건강 관리 수준을 2035년까지 전 국민에 적용할 때 예상되는 암 사망률을 발표했다. 폐암에 의한 사망률은 59%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대장암과 췌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각각 32%, 19%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간암에 의한 사망률은 50%가 떨어질 것이란 결과가 나왔다.

앞서 협회는 지난 24년간 미 내 암환자 사망률이 26% 줄었다고 발표했다. 1991년 215.1명(인구 10만명당 암환자 사망률)에서 2015년 158.6명으로 약 56명이 감소한 것이다. 암 조기진단 기술의 발달을 비롯해 생환습관의 교정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