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시 15회차 후배 앞서 얼굴 흙빛 된 강만수

행시 15회차 후배 앞서 얼굴 흙빛 된 강만수

입력 2011-06-15 00:00
업데이트 2011-06-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금융 입찰, 산은 배제” 김석동, 정부 입장 공식화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회의장에서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참여 반대 입장을 밝히는 순간, 회의장 뒤편에 앉아 있던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의 얼굴이 흙빛으로 변했다. 한나라당 소속 한 정무위원은 “강 회장이 미리 정부의 방침을 알고 있었겠지만 까마득한 후배가 공개적으로 반대를 선언하자 적잖이 당황한 모습이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강만수(왼쪽) 산은금융 회장이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참여가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입장을 밝히는 김석동(오른쪽) 금융위원장의 설명을 심각한 표정으로 듣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강만수(왼쪽) 산은금융 회장이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참여가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입장을 밝히는 김석동(오른쪽) 금융위원장의 설명을 심각한 표정으로 듣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강만수’가 누구인가. 과천 청사 국장급 인사도 소속 장관이 아닌 “강만수(대통령 특보)에게 물어보라.”는 말을 할 정도로 막강 파워를 행사했던 MB 정부 최고의 경제실세다. 기획재정부 장관에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 대통령 특보를 지낸 슈퍼 파워맨인 그가 산은회장 겸 산업은행장으로 ‘격하’된 데는 메가뱅크라는 꿈과 포장이 있었다. 하지만 메가뱅크는 물 건너 갔다. 그것도 행정고시 15회 차이인 새까만 모피아(옛 재무부 출신 관료) 앞에서 말이다.

스타일은 구겨졌고, 강 회장의 파워가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이 나올 법하다. 메가뱅크 무산에는 우호적이지 않은 여론이 작용했겠지만 정부 내 경제 파워 시프트(권력 이동)와 모피아의 약해진 위상도 감지된다.

우리금융을 먹겠다는 강 회장의 의욕에 애당초 여론은 좋지 않았다. 한나라당 정무위원들은 4월 말에 진작 메가뱅크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진다. 한 정무위원은 “메가뱅크를 하려면 강 회장이 최소한 여당 의원들에게는 설명을 했어야 했는데 단 한 차례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서 “아직도 자신이 경제정책을 좌지우지한다는 자만심에 빠져 있는 것 같다.”고 여당 내 불만을 전했다.

청와대 기류도 꽤 냉랭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강 회장의 메가뱅크 추진에 대놓고 만류하지는 못했지만 상당히 마뜩잖아했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메가뱅크가 생기는 것이야 반대하지 않겠지만, 인위적으로 만들 필요는 없다는 게 청와대의 정책적인 판단이다. 청와대 내의 강만수 파워가 예전 같지는 않다는 얘기다.

김 위원장이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이런 분위기를 감지하지 못했을 리 없다. 여기에다 저축은행 사태로 모피아는 메가뱅크를 추진할 동력을 상실했다. 김 위원장이 국회 정무위 회의를 통해 산은 중심의 메가뱅크 백지화를 공식 선언할 수밖에 없었던 데는 이런 안팎의 정황이 작용했을 것으로 해석된다. 강 회장이 재정부 장관 시절 추진했던 저금리·고환율 정책들은 여당 내에서 서민경제를 망친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메가뱅크 구상은 정부 여당 내 분란만 일으킨 아이디어로 남게 됐다.

이창구·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6-15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