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환율, 뛰는 물가 잡을까

추락하는 환율, 뛰는 물가 잡을까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10 0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하반기 최우선 정책 방향을 ‘물가안정’에 두겠다고 밝힌 가운데 최근 환율이 하락하면서 환율이 물가안정에 한 몫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환율 하락은 수입물가를 떨어뜨릴 뿐만아니라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8일 연초 대비 7% 가까이 떨어지며 2년11개월 만에 1,050원대에 진입했다.

올해 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1% 급등한 이후 지난 6월까지 6개월 연속 4%대로 오르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1,120원대에서 1,050원대로 계단식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정작 환율 하락이 물가 안정에는 별도움이 되지 못한 양상이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최근 환율 하락이 물가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했다.

우리나라 수입에서 원자재가 절반가량, 자본재는 35%, 나머지 15%는 소비재로 구성됐는데, 환율 하락은 수입물가를 낮춰 전반적으로 소비자 물가가 인하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이유에서다.

재정부 관계자는 “환율과 같은 거시변수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데 환율하락으로 수입물 가격이 전체적으로 낮아지면 소비자 물가도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며 “또 수입자본재 가격 인하로 설비투자가 촉진돼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기대심리와 달리 환율이 떨어져도 물가 안정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환율 하락이 직수입품 가격이나 유가 하락에는 도움되나 일반 수입 공산품 가격 하락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 수입업체들이 환율 하락에 따른 가격 하락분을 제품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환율이 10% 떨어질 때 소비자물가는 0.5%포인트가량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초보다 환율은 7% 가까이 떨어졌지만, 소비자물가는 오히려 상승 기조를 유지했다. 한은이 분석한 환율과 물가의 상관관계 또한 현실적이지 못한 셈이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국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임금과 공공요금”이라며 “환율(상승)은 임금이나 공공요금 상승만큼 충격파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평균임금이 10% 오르면 물가는 3.2%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여기에 통신비나 원유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한 환율 하락만으로 물가 안정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